올해는 우리나라와 유럽연합이 수교 60주년을 맞이한 해입니다. <br /> <br />탄탄한 경제 관계를 맺어온 양측은 이제 안보·디지털 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데, 북한 핵·미사일 개발과 직결된 사이버 위협에 대한 공조도 핵심 과제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EU 대사를 만나 직접 들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63년 외교관계를 수립한 우리나라와 유럽연합. <br /> <br />어느덧 EU는 우리의 3위 교역 대상국이 됐고, 한국은 EU의 9위 교역 파트너로 자리매김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EU 대사는 지금부터는 안보·디지털·녹색산업 파트너십에 초점을 맞춰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사이버 안보는 한-EU 고위급 협의의 주요 의제로 올랐다며 갈수록 정교해지는 북한과 러시아 등의 해킹 공격을 거론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/ 주한 EU 대사 : 사이버 위협에는 국경이 없고 북한은 이를 악용해 불법 무기 개발을 위한 불법 자금원을 계속 찾으려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사이버 공격 영역도 보안기술력이 약한 나라들로 확산하고 있는 만큼 이런 제3국의 역량을 키우는 쪽으로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/ 주한 EU 대사 : 한국과 EU는 사이버 관련 협력을 심화하고 있는데 이것은 제3국을 포함해 각국의 사이버 역량을 키운다는 의미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이 과정에 필수적인 '정확한 정보 공유'의 어려움도 적지 않은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[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/ 주한 EU 대사 : 유럽에서 우리는 외국의 방해와 정보 왜곡이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를 깨달았습니다.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에서도 보았죠. 그래서 이런 문제가 한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상황 속에 한-EU가 처음으로 우리나라에서 고위급 사이버 안보 논의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 정부 고위당국자뿐 아니라 민간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악의적인 사이버 공격에 대한 최신 정보와 대응 경험을 공유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운규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: 한-EU는 첫 디지털 파트너십 회의에서 공동 사이버 안보 연구와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정보 공유, 정책 교환 등의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.] <br /> <br />한-EU는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안보 협력 강화를 위해 신설된 외교장관 전략대화와 함께, 실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70207321483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