온라인서 'MZ 조폭' 활개…"청소년 현혹 우려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조직 폭력배의 범죄가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예전 조폭들과는 달리 SNS로 소통하고, 유튜브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어 조직폭력 세계에 발을 들이는 청소년들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선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그랜드하얏트호텔 난동 사건'으로 최근 무더기 기소된 폭력조직 '수노아파' MZ세대로 구성된 전국의 조직원들이 SNS를 통해 규합한 걸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 "최근에는 소위 MZ세대라고 할 수 있는데, 폭력조직들이 계파를 초월해서 온오프라인 상으로 '또래 모임'이라는 것을…"<br /><br />한 조직원의 SNS 계정엔 서로 결속을 다지는 영상이 서슴없이 올라와 있습니다.<br /><br />'XXX파, 화이팅!' 코로나가 창궐한 2020년을 빼고는 꾸준히 늘어온 조폭 범죄.<br /><br />특히 여기에 연루된 10대가 크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소셜미디어로 발을 들여놓는 청소년들이 많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SNS나 인터넷 이런 게 익숙하니까 그런 걸 통해가지고 새로운 멤버들을 영입을 하고…"<br /><br />'조폭 유튜버'도 문젠데, 지난해 기준 11명이나 됩니다.<br /><br />구독자 10만이 넘는 한 유튜브 채널에 들어가 봤는데, 과거의 범죄를 무용담처럼 늘어놓습니다.<br /><br /> "그때 칼 맞고 갔는데 이 피가 터진 거야…그 사람하고 나하고 1:1 싸움이었기 때문에 10초 만에 끝났지."<br /><br />자신이 중학생이라는 시청자는 "수제자가 되겠다"는 댓글도 남겼습니다.<br /><br />윤희근 경찰청장은 지난해 "조폭 유튜버의 위법 현황을 자세히 파악해 적극적으로 수사하겠다"고 했지만, 범죄와 직접 관련이 없으면 처벌할 근거가 없습니다.<br /><br /> "그 이야기를 듣고 누가 어디 조폭에 가서 어떤 불법적인 행동을 하는데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다, 그걸 입증을 해야 되는데 그게 애매하죠."<br /><br />결국 수사기관의 모니터링 강화와 함께 학생과 학부모, 시민단체 등이 적극적인 제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선재입니다. (freshash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