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3년 만에 물러난 코로나에 본격 피서철까지 다가오면서 여행 명소들엔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서울 명동 상권은 외국인 방문객들이 늘면서 활기를 되찾고 있는데, 한동안 잠잠했던 '바가지 상술'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핫바 하나에 5천 원은 너무 한 것 아닙니까? <br> <br>최재원 기자가 명동으로 갔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일요일 오후 명동거리. <br> <br>거리 곳곳이 외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입니다. <br> <br>특히 관광 필수 코스가 되면서 손에는 노점에서 산 맛난 음식들이 한 가득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예전보다 훌쩍 오른 가격에 'K-바가지'란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금 전 명동 노점에서 산 음식들입니다. <br> <br>핫바 1개 김치만두 4개, 붕어빵 4개를 샀는데 1만7천 원을 지불했습니다.<br> <br>오징어구이는 1만 2천 원, 회오리 감자는 5천 원으로 고속도로 휴게소보다 2천 원씩 더 비쌉니다. <br> <br>석류 주스나 인삼 주스는 가격표조차 없습니다. <br> <br>카드는 아예 받지 않고 계좌이체와 현금만 받습니다. <br> <br>외국인 관광객들도 사 먹긴 하지만 비싸다고 입을 모읍니다. <br> <br>[리첼 / 인도네시아 관광객] <br>"명동 거리 음식이 다른 곳보다 더 비쌌습니다. 내가 왜 돈을 더 내야 하는지에 대해 불공평함을 조금 느꼈어요." <br> <br>실제로 유튜브에는 외국인들의 바가지 경험담이 올라오고 "내국인이 명동에 안 가는 이유", "명동의 미래가 보인다"는 댓글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[한정서 / 경기 용인시] <br>"케이팝 유행으로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지고 있는데, 이렇게 덤터기나 바가지를 씌우면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안 좋아지지 않을까 걱정되고." <br> <br>명동 상인들은 식용유 등 원자재 가격이 오른 것도 있고 외국인 상대 장사다 보니 어쩔수 없다고 해명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너무 욕심내다 모처럼 돌아온 외국인 관광객을 다시 쫓아낼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재원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최재원 기자 j1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