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A 라이브 (12시~13시 20분)<br>■ 방송일 : 2023년 7월 3일 (월요일)<br>■ 진행 : 이용환 앵커<br>■ 출연 : 김연주 전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, 박성민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, 양지열 변호사,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<br><br>[이용환 앵커]<br>이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에 이제 개각이라는 것을 단행하면서 제일 변화를 많이 맞게 된 부처는 통일부가 아닐까 싶어요. 장관 바뀌었죠, 차관 바뀌었죠, 대통령실의 통일비서관도 바뀝니다. 이 정도면 대대적으로 다 바뀐다. 이렇게 봐야 하겠죠. 그동안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을 향해서, 글쎄요. 강경한 조금 메시지라고 해야 할까요? 대선 후보 시절부터 말이죠. 이런 목소리들을 내왔습니다. 직접 한번 들어보시죠.<br><br>이렇게 이야기를 해왔던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에 통일부의 역할에 변화를 주문했습니다. 이렇게 말이죠. 한번 보시죠. 그동안 통일부는 말이죠, 이것은 제 이야기가 아니라 윤석열 대통령의 이야기입니다. 그동안 통일부가 말이죠. 대북지원부 같은 역할을 해왔던 것 같습니다. 그래선 안 되지 않겠습니까? ‘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통일이라는 헌법의 정신에 따라서 통일부 본연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.’라는 윤 대통령의 발언이 어제 소개가 되었죠. 양지열 변호사님은 윤 대통령의 저 워딩을 어떻게 평가하고 싶으신지요?<br><br>[양지열 변호사]<br>글쎄요. 이제 어떤 정부가 들어서느냐에 따라서 대외 정책, 특히 우리나라처럼 분단인 상황에서 통일 정책 같은 것도 어느 정도 변화는 있어야겠죠. 하지만 그것도 조금 한계가 있어야 할 텐데 자칫하면 저런 말씀은 그 한계마저도 다 무시한 것이 아닌가. 그렇게 읽힐 수 있습니다. 사실 이 강경 대응이라든가, 심지어 지금 통일부 장관으로 지금 꼽히고 있는 김영호 교수처럼 김정은 체제가 붕괴된다는 그런 식의 발언들은 국방부에서는 할 수 있죠. 국방부 장관이라면 가능할 것입니다. 그런데 이 각 부서들이 맡고 있는 그런 역할들이 있고 대통령이 중심을 잡으면 통일부라고 하는 데가 맡아야 할 역할이 있는 거예요.<br><br>지금 조금 전에 대통령이 말씀하신 것처럼 어떤 본질, 글쎄요. 본질이라는 말씀을 이야기하셨는데. 우리 정부조직법에 통일부는 북한과의 대화와 협력, 교류를 맡도록 되어 있습니다. 그런데 지금 통일부에 대해서 대화나 교류, 북한과의 협력 이런 것들은 다 빼버리라는 이야기는 사실은 그 본질을 다 흐트러뜨리는 거예요. 저것은 사실 법을 바꾸지 않으면 저렇게까지 이야기가 힘든 상황인데, 글쎄요.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정부 정책이라는 것이 물론 어떻게 보면 정부에 따라서, 정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그 본질까지 해치지는 않았으면 합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도혜원 인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