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A 라이브 (12시~13시 20분)<br>■ 방송일 : 2023년 7월 3일 (월요일)<br>■ 진행 : 이용환 앵커<br>■ 출연 : 김연주 전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, 박성민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, 양지열 변호사,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<br><br>[이용환 앵커]<br>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지금 이제 피고인 신분으로 선거법 재판에 임하고 있는데. 특징이 하나 있습니다. 무언가 증인들을 향해서 이재명 대표가 직접 질문을 던지는 거예요. 조금 보시죠. 유동규 전 본부장이 증인으로 나왔을 때 이재명 대표가 ‘내가 웬만하면 이야기를 안 하려고 했는데, 유동규 증인. 많이 힘들죠?’ 직접 이렇게 질문을 던지는 것이죠. 유동규 씨가 그때 ‘아니요, 안 힘듭니다.’ 이렇게 답했고. 오른쪽 이번에 전 성남시 공무원한테도 이재명 대표가 ‘내가 웬만하면 직접 신문을 안 하려 했는데.’라고 하면서 이런저런 질문을 던졌다고 합니다. 법조인이신 양지열 변호사께 궁금한 것은, 이재명 대표의 저 부분은 나름의 어떤 조금 전략을 가지고 저렇게 직접 증인 신문에 나서는 것일까요? 조금 어떻게 보시는지요?<br><br>[양지열 변호사]<br>당연히 그렇죠. 어떤 이야기냐면, 같은 질문지에 있는 내용이고 설령 답을 하는 사람이, 대답을 하는 사람이 똑같은 내용으로 답을 하더라도 그 미묘한 순간 하나하나에 재판장은 굉장히 주목해서 바라볼 수밖에 없거든요? 당사자이고 그에 관해서 누구보다 사실은 잘 알고 있는 사람이고 또 본인하고 같이 일을 했던, 본인의 부하로 일을 했던 사람들에 관한 신문이지 않습니까. 그때 그 사람들이 똑같은 이야기를 해도. ‘네, 그렇습니다.’ ‘네, 아닙니다.’라는 이야기를 하더라도 아무래도 이재명 당시 시장 현재의 대표가 직접 물어봤을 때 예를 들어서 흔들리는 표정이 나올 수도 있고. 더 과하게 조금 반응하는 것이 나올 수도 있고.<br><br>그런 부분들이 재판 전체에 있어서 재판장에 주는 인상을 좌우하는 것입니다. 사실 이제 우리 같은 경우에는 같은 증인이 나와서 같은 내용을 이야기를 하더라도 그것을 어떤 증거 가치를, 무엇에 신빙성을 줄 것인지는 재판장의 자유심증주의에 맡겨놓고 있거든요. 그래서 미묘한 시점에 이재명 대표가 직접 나서는 것은 아마 변호사인 이재명 대표로서는 굉장히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을 해서 나서는 것일 겁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도혜원 인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