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알제리계 소년의 사망으로 시작된 프랑스 시위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에까지 번지고 있습니다.<br> <br> 특히 사건 영상이 SNS로 퍼져나가면서 시위확산의 '연결고리' 역시, SNS가 하고 있습니다.<br> <br>파리에서 조은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밤거리에서 시위대가 혼비백산 달려가고 경찰이 한 남성을 체포합니다. <br> <br> 인구 80% 정도가 프랑스어를 쓰는 스위스 로잔에서 100명 정도의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했습니다. <br> <br> 현지 경찰은 프랑스 폭력 시위에 자극받은 젊은이들이 SNS로 시위를 계획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 10대 알제리계 소년이 경찰 총격에 숨지는 영상이 SNS로 확산되자 주변국도 긴장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이민자 사회의 누적된 갈등과 불만이 표출된 겁니다. <br><br>SNS를 통해 이곳 파리 도심 샹젤리제 거리에 시위대가 집결하려는 움직임도 생겼습니다.<br> <br>시위대 공격을 우려한 명품 가게들은 보호막을 설치한 채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전화인터뷰: 파리 거주 교민]<br>"나이키 매장이라든지 주얼리 매장 그런 것들을 유리창을 깨고 물건들을 가져가는… 시위를 이용해서 더 과격하게 하는 그런 성격이 있는 것 같아요." <br> <br>[전화인터뷰: 파리 근교 교민] <br>"(사건 발생) 지역 같은 경우는 자동차가 엄청나게 많이 불탔죠. 그 주변에 있는 매장들이 파괴당하고, 다 부수고" <br> <br>프랑스 남부 마르세유를 여행하던 중국인 관광객 41명을 태운 버스가 시위대의 습격을 받으면서 대여섯 명이 다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중국인 버스 탑승객] <br>"복면을 쓴 사람들 10여 명이 우리 차를 부쉈습니다. 그러고 나서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이 (버스에) 올라와서 끌고 내려가려고 했습니다." <br> <br>우리 대사관도 교민들과 여행객들에게 심야시간 외출을 삼가는 등 신변 안전에 유의를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파리에서 채널A 뉴스 조은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수연(VJ) <br>영상편집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