또다시 불거진 뉴스 알고리즘 논란…방통위, 네이버 실태 점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의 뉴스 검색 기사 배치 순위가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알고리즘에 의한 방식이라는 네이버의 해명에도 방송통신위원회가 실태 점검에 나서기로 했는데요.<br /><br />일각에서는 정부의 길들이기가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이버의 뉴스 검색 알고리즘이 또다시 도마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정치권에서 진보 성향 매체를 상위권에 배치하고 보수 성향 언론은 덜 부각되도록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겁니다.<br /><br />방송통신위원회는 법 위반 소지를 거론하며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인공지능 기반 뉴스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운영하는 네이버가 언론사 인기도 지표를 인위적으로 조작했는지가 조사의 핵심입니다.<br /><br />여기다 공정거래위원회까지 이달 안으로 '플랫폼 독과점 규율 개선 태스크포스'가 마련한 안을 토대로, 네이버와 카카오 등에 의무를 부과하는 규제 방안을 내놓을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일각에선 정부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포털 길들이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네이버는 2차례 뉴스 알고리즘 방식을 변경했습니다.<br /><br />2019년엔 뉴스검색시 신뢰도가 낮은 언론사의 기사 노출을 막기 위해 언론사 인기도 순위를 도입했고, 2021년에는 계열사 분리와 언론사 피인용 지수를 결합해 운영했습니다.<br /><br />한 사이트를 사용하는 한 계열 언론사가 동일한 인기도 값을 갖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였습니다.<br /><br />네이버는 인기도는 20개 이상의 뉴스 선별 알고리즘의 하나로, 순위 변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지난달 말 꾸려진 3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에서는 추천 심층성 강화와 추천 다양성 개발 등을 통해 보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조사 결과에 따라 과징금이 부과될 수도 있는데, 네이버는 조사에 성실히 임하면서 오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네이버_뉴스 #알고리즘_논란 #방통위_실태점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