멕시코에도 한식 바람…요리대학에 한식 정식강좌 개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구 반대편 멕시코는 매콤한 소스를 즐겨 한국인과 입맛이 닮았다고 여겨지는 곳인데요.<br /><br />멕시코에도 한식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인 요리사 양성 전문대학에서 한식을 정식 강좌로 개설한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이재림 특파원이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리대 위에서 음식을 준비하는 손길이 분주합니다.<br /><br />하얀 김치를 먹기 좋게 썰어 접시 위에 가지런히 담습니다.<br /><br />한쪽에서는 전을 부치는 고소한 기름 냄새가 식욕을 자극합니다.<br /><br />먹음직스러운 갈비찜과 잡채, 미역국, 닭강정, 곶감말이가 차례로 조리대를 떠납니다.<br /><br />멕시코의 대표적인 요리사 전문 양성 교육기관인 고등조리원, 이헤스에서는, 한식을 소개하는 예비강좌를 통해 교수와 학생들이 5주간 매일 5시간씩 한식 연구에 매달렸습니다.<br /><br />30년 역사의 이 학교는 멕시코 대학 중 처음으로 내년부터 한식을 정식 교육과목으로 채택하기로 한 곳입니다.<br /><br />정규 수업을 앞두고 교수와 학생들은 한국에서 온 장희영 강사에게 배운 한식 요리를 직접 만들어 선보였습니다.<br /><br /> "(재료의) 정확한 양을 잰다든지 하는 게 좀 어려웠어요. 멕시코 요리는 그것보단 좀 자유롭게 조리하는 편이거든요."<br /><br /> "모든 재료의 맛이 좀 생소했어요. 여러 가지 다양한 맛을 합쳐 제가 원하는 맛이 나왔으면 했는데, 그게 무척 어려웠습니다."<br /><br />학생들은 특히 고추장, 간장, 김치 등 발효 음식을 집중적으로 탐구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시간과 정성을 많이 쏟아부어야 하는 '슬로 푸드'입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멕시코 음식을 보전하려 노력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, 한식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이를 계승하려는 한국을 존중합니다. (정규과목 채택으로) 한국 문화를 전할 수 있는 기회와 가능성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."<br /><br />학교 측은 내년부터 한식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멕시코 케레타로에서 이재림입니다.<br /><br />#멕시코 #요리대학 #한식 #정규강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