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인사불성 취객만 노리는 범죄도 갈수록 진화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전에는 돈이나 카드를 노렸는데 이젠 손가락 지문을 노립니다. <br> <br>도대체 어떤 수법일까요?<br> <br>백승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반바지 차림의 남성이 술 취해 길에 쓰러져 있는 남성에게 다가갑니다. <br> <br>부축하는가 싶더니 취객을 인적이 드문 골목길로 데리고 갑니다. <br> <br>만취한 사람들의 금품을 빼앗는 이른바 '아리랑 치기'입니다. <br> <br>이 남성은 결국, 경찰에 붙잡혔는데 지난 1년 동안 모두 11차례에 걸쳐 5천500만 원을 갈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눈에 띄는 건 현금·카드가 아닌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해계좌이체를 받는 새로운 수법을 썼다는 겁니다. <br> <br>[천현길 / 서울 강남경찰서 형사2과장] <br>"CCTV 사각지대로 이동한 뒤 강제로 피해자의 휴대폰에 지문을 인식해 자신의 계좌로 이체하거나 대출을 받아 이체하는 수법으로 금품을 빼앗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" <br> <br>일반 은행 앱은 지문 인식을 하더라도 한 번 더 계좌 비밀번호를 넣어야만 돈을 보낼 수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인터넷은행 앱은 지문 인식만으로도 '원스톱' 계좌 이체가 가능한데 이를 노린 겁니다. <br><br>제가 모바일 금융 앱을 이용해 직접 계좌 이체를 해보겠습니다.<br> <br>등록돼 있는 지문을 이용해 바로 접속한 뒤 돈을 입력하고 보내기 버튼을 누르자 바로 송금됩니다.<br> <br>지문 2번만 인식하면 다른 계좌로 돈을 보내는데 30초도 걸리지 않습니다.<br> <br>이 남성은 피해자가 저항할 경우 폭행한 뒤 강제로 피해자의 손을 휴대전화에 가져다 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생체정보는 유출이나 도용이 어려워 더 안전하다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'프리패스' 통행권이 된 셈입니다. <br> <br>인터넷은행 측은 이중 보안 기능은 따로 없다며 지문 인식이 불안하다면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 바꿀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백승우 기자 strip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