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새마을금고 예금 인출 사태는 일단 진정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원금, 이자 다 보장해준다고 하면서요. <br> <br>정부는 새마을금고 건전성 기준을 신협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데요.<br><br>뭐가 달라지는 건지 신무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경기 남양주의 한 새마을금고. <br> <br>어제는 맡긴 돈을 찾으려는 고객들이 아침부터 긴 줄을 섰지만 오늘은 한산한 편이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"재산상 손실이 없다" "5천만 원 넘는 예금도 보장한다"며 연일 뱅크런 진화에 나섰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조동성 / 경기 의왕시] <br>"다행히 안정되어 가는 것 같아요. 뱅크런 사태가 일어나면 안 되잖아요." <br> <br>서울의 한 새마을금고 직원은 문 열기 전 7명이 와서 해지했던 예금을 재예치했다고 전했습니다.<br><br>다만 불안감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닙니다. <br> <br>[김경빈 / 경기 남양주시] <br>"(만기가) 다 돼 가는데 그때까지 있다가 그냥 조금 이제 그런 것도 그렇고. 빼야 되겠다 싶어서 저는 빼러 왔습니다." <br> <br>이에 금융위원회는 오늘 느슨한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규제 기준을 금융당국이 직접 관리하는 신협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새마을금고의 감사 주기를 2년에서 신협 수준인 1년으로 맞추고, 외부감사 대상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예금으로 받은 돈 대비 대출을 내줄 수 있는 비율, 예대율 규제도 강화해 과도한 대출이 나가지 않도록 관리할 계획입니다.<br> <br>이를 위해 새마을금고와 신협, 농·축협 등을 관리하는 각 정부 부처들은 연내 관련 내용을 담은 법안을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. <br> <br>다만 금융당국은 새마을금고의 감독 권한을 행정안전부에서 금융위로 이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무경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기범 <br>영상편집: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