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설탕이 없는, 그러니까 제로 슈거 열풍이 소주 업계로까지 번졌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나온 게 제로 소주인데, 그 인기가 대단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사실은 일반 소주에도 설탕이 없다는 거 알고 계셨습니까? <br> <br>제로에 대한 맹신이 거꾸로 여러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윤승옥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<br>"사장님, 설탕 없는 소주 주세요" <br> <br>무설탕, 제로 소주의 인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시민] <br>"아무래도 설탕이 없으니까, 살도 안 찌고, 술배도 덜 나올 것 같고. 그래서 마음 편하게 마십니다." <br> <br>제로소주는 실제로 설탕, 즉 당이 없습니다.<br> <br>그렇다면 일반 소주는 어느 정도일까. <br> <br>놀랍게도 일반 소주도 당이 제로입니다.<br> <br>소주는 애초에 당과 거리가 멀었는데, 제로 마케팅으로 소비자를 유혹한 겁니다. <br> <br>[김은미 박사] <br>"(제로소주에) 설탕을 안 넣었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는지. 칼로리에 기여하는 바도 크지 않고" <br> <br>술은 마시면 살이 찝니다. <br><br>당이 아니라 알코올때문입니다. <br><br>알코올의 열량은 그램당 7kcal로, 지방과 비슷 수준. 당이 없는 제로소주가 300kcal가 넘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알코올은 특히 탄수화물, 지방, 단백질이 에너지로 사용되는 걸 막고 자신이 먼저 연소되기 때문에 술자리에서 먹은 안주는 그대로 살이 됩니다. <br> <br>소주는 제로를 내세워 문제의 본질을 가린 경우지만, 단맛이 핵심인 음료나 과자 등은 제로슈거로 당에 대한 소비자의 경계심을 무너뜨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김은미 박사] <br>"제로 음식 그러니까 좀 낫겠다 하고 더 많이 먹는 경향이 있고요. 인공 감미료가 설탕은 아니지만, 단 것에 노출되면 더 단 맛을 찾게 되거든요." <br> <br>제로슈거가 비만, 당뇨, 심장질환을 악화시킨다고 경고했던 세계보건기구 WHO는,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분류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설탕이든, 제로슈거든 감미료 종류와 관계없이 결국 지금보다 단맛을 낮춰야 건강해질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윤승옥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