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에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수소 트램 사전 타당성 용역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든 가운데 유력 노선 네 곳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공항을 기점으로 신도심과 원도심을 경유하는 주요 노선이 도입될 경우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제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용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신교통수단 트램은 경제성 등을 이유로 10년 전 백지화됐습니다. <br /> <br />민선8기 도정은 핵심 공약으로 수소 기반 트램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고 여러 논란 속에 지난해 9월 사전 타당성 용역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약 10개월 만에 수소 트램 운영 노선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용역진은 거주 인구와 대중교통 밀집 지역, 지형 경사도 등을 고려해 유력 노선 네 곳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형과 연동, 그리고 공항을 경유하는 1노선 <br /> <br />제주공항과 용담동 제주항 구도심을 잇는 2노선 <br /> <br />급행 버스를 비롯해 주요 대중 교통 노선이 포함된 이도동과 도련동 구간 3노선. <br /> <br />그리고 도심 확장에 대비해 연삼로를 동서축으로 하는 4노선 이렇게 네 곳입니다. <br /> <br />노선 길이는 5.7km에서 10km 내외입니다. <br /> <br />트램 최고 속도는 지하철과 비슷한 시속 30km 정도로 운행 시간은 노선별로 11분에서 19분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용역진은 생활 편의와 관광 활성화 등을 고려해 신도시와 공항, 구도심을 연계한 1, 2노선을 우선 도입하는 게 타당하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1, 2노선을 함께 운영할 경우 연간 이용객은 4만 6천여 명, 수송 분담률은 3.4%까지 늘어나고 운영 수입으로 사업비 4천3백억 원을 충당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준/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: 1과 2를 결합하는 노선이 저희가 생각할 땐 제주도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, 관광객 수요도 만족하고 제주 도민들의 간선축을 담당하는 교통수단도 정리해 주는 그런 노선이라고 판단됩니다.] <br /> <br />트램 도입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경제성 분석뿐 아니라 국가 철도계획망에 제주가 반영돼야 하는 과제 그리고 주민 수용성 문제 등이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준/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: 철도망 계획도 수립하지 않고 있습니다. 제주도는 교통사업뿐만 아니라 여러 이슈에 대해 찬반이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여러 토론의 장이 앞으로 더 많이 열릴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개략적인 수소 트램 노선 도입안이 처음으로 공개된 가운데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용원kctv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70906213711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