챗GPT 성장세 숨고르기…국내기업들 줄도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세계적으로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킨 챗GPT의 이용자 수가 지난달 처음으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저작권 논란까지 겹쳐 인기가 한 풀 꺾인 것 아니냔 분석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국내 기업들도 곧 서비스를 차례로 출시해 시장에 도전합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트래픽 통계 사이트 '시밀러웹'에 따르면 6월 한 달간 챗GPT 웹사이트의 세계 데스크톱·모바일 상 정보 이동량, 트래픽은 5월보다 9.7%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순방문자수는 5.7%, 이용자들이 웹사이트에서 보낸 시간도 8.5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1월 출시 후 월간 이용자 수가 15억 명을 웃돌던 챗GPT의 트래픽과 순방문자수, 이용자 시간이 한꺼번에 감소한 것은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AI 채팅의 신선함이 떨어지며 단기간 급격하게 성장한 시장이 조정기를 거치는 것으로 분석합니다.<br /><br /> "'캐즘'(새 서비스가 겪는 침체기)이라는 거를 거치게 돼있거든요. 골짜기. 신기해서 쓰던 사람이 아니라 정말 나한테 실용적이어야지만 쓰겠다…계속 갈 서비스는 맞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최근엔 2명의 미국 작가들이 챗GPT가 동의 없이 자신들의 소설작품을 요약했다며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체기 진입과 커지는 논란 속에서도 국내에선 네이버가 다음달 한국어에 특화된 초거대 AI를 공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 "B2B로 모델을 제공해가지고 본인들만의 서비스를 만들고 이러는 데 잠재력이 큰 기술이기 때문에…사업을 다각화해가지고 초거대 AI 비즈니스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."<br /><br />카카오의 AI 자회사 카카오브레인도 연말 '코GPT 2.0'을 공개할 방침인데, 아직 성능을 짐작할 수 있는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DJY@yna.co.kr<br /><br />#챗GPT #오픈AI #트래픽_감소 #네이버 #카카오 #저작권 #개인정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