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제는 최대 적자국…대중국 무역 적자 고착화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는 1993년부터 지난해까지 무려 30년간 중국을 상대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죠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9개월 연속 대중국 무역수지가 적자 행진 중이고, 연간으로도 중국이 최대 적자국이 됐습니다.<br /><br />한중간 교역구조가 바뀌고 있는 건데, 고착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92년 수교 이듬해부터 우리나라의 대중국 무역수지는 흑자 일변도였습니다.<br /><br />규모도 1993년 12억 달러에서 2013년 600억 달러가 넘는 등 폭발적으로 증가했고, 재작년에도 240억 달러 넘는 흑자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이랬던 한중간 교역구조가 최근 들어 확연하게 바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0월 12억6,000만 달러를 시작으로 지난달 13억 달러까지.<br /><br />우리나라는 중국을 상대로 9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 중입니다.<br /><br />또 올해 들어 5월까지 대중국 누적 적자는 118억3,000만달러로, 에너지 수입국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적자국이 됐습니다.<br /><br /> "IT경기 부진, 그리고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같은 경기적 요인, 중국의 중간재 자립도 향상과 같은 구조적 요인이 서로 맞물리면서 대중국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더 큰 문제는 중국이 반도체, 석유화학 등 우리 주력 대중 수출 품목의 자체 조달 비중을 높이는 반면, 배터리 소재, 원료 같은 새 신성장산업에서는 우리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 무역수지 개선 가능성이 커 보이지 않는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지난 달 무역수지는 16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섰습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하반기 무역수지 개선을 낙관하기에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#무역수지 #중국 #흑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