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빨리 해달라는 양평 군민들, 그럼 어느 노선으로 만들어야 가장 도움이 될까요? <br> <br>민주당은 기존안 그러니까 양서면 종점으로 국민의힘은 강상면 종점으로 하는 수정안을 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느 쪽이 타당할지 양평 현지 내려가 따져봤습니다. <br> <br>김태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, 양평고속도로 원안의 종점인 양평군 양서면 청계리입니다. <br> <br>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와 JCT 분기점로 연결되는 곳입니다. <br><br>이곳 종점 예정지 구간에는 보시는 것처럼 40미터 높이의 교량이 있는데요. <br> <br>분기점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 마을 위로 도로가 지나갈 수밖에 없습니다.<br><br>마을주민들은 제2 순환도로로 이미 마을이 두동강이 났는데 분기점 까지 생기면 도로를 머리 위에 두고 살아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[박구용 / 청계2리 이장] <br>"동네 머리 위에다 도로를 이고 자는 거지 뭐. 산속도 아니고 동네 한가운데 그러면 그건 좀 너무하잖아요." <br> <br>또 원안은 팔당호, 남한강을 가로질러 다리 두개를 놓다보니 환경 파괴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원안에서 주요 목적 중 하나였던 양서면의 교통체증이 얼마나 해소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. <br> <br>[양서면 주민] <br>"서울 가려면 5시간, 6시간 무조건 기본이야. 양서면이 제일 많이 막히지. 서울에서 다 이리 내려갔으니까." <br><br>원안의 종점인 양서면에서 12km 떨어진 수정안의 강상면 종점 부근으로 가봤습니다. <br> <br>김건희 여사 일가의 땅 세필지가 있는 곳입니다. <br><br>이곳으로 종점을 옮기는 것만으로 고속도로는 2km 더 길어지고 이에 따른 예산은 140억 원 더 들어가게 됩니다. <br> <br>다만 원안보다 하루 교통량이 6천 대 가량 더 늘어나 효용이 더 높다는 게 국토부의 판단입니다. <br> <br>기존 양평IC와 서울, 양평고속도로가 JCT로 연결될 계획입니다. <br> <br>수정안에도 강하면 나들목은 새로 만들지만 이곳 종점에는 추가로 나들목이 생기진 않습니다. <br> <br>[강상면 부동산업자] <br>"고속도로 옆이라 손님들도 아무도 살려고도 안 할 거야. 시끄러워서. 김건희 씨 땅이 강하면에 있다. 그러면 그건 말이 돼요,없던 IC가 생기는 거니까." <br> <br>또 원안 종점 부근에 있는 민주당 소속 정동균 전 양평군수 일가의 토지도 큰 산을 끼고 있어 고속도로로 큰 혜택을 받을 가능성은 낮다고 주민들은 말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