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저임금 요구 격차 1,400원…중재안 주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년도 최저임금을 논하는 자리에서 노사가 접점을 찾는데 또 실패했습니다.<br /><br />최초 제시안 절반 수준으로 격차가 줄었지만 여전히 거리가 멀어 중재자인 공익위원들의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.<br /><br />김종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저임금위원회 열두번째 만남.<br /><br />회의 시작부터 노동계는 정부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 "노동자위원 부재 상황, 정부의 최저임금 수준 가이드라인 제시가 의심되는 정황으로 인해 최저임금위원회의 공정성, 자율성, 독립성이 훼손…"<br /><br />경영계는 근로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로 경영환경을 또 지목했습니다.<br /><br /> "과거 밴텀급의 펀치 수준이던 우리 최저임금으로 인한 충격이 현재는 헤비급 수준이 되어버린 상황이기 때문에…"<br /><br />다섯번째 수정안은 노동계 1만 1,140원, 경영계 9,740원.<br /><br />최초 2,590원에 달했던 격차를 1,400원까지 좁혔지만, 결코 가깝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미 법정 심의기한을 넘겼고, 고시 시한을 지키려면 이제 합의안을 도출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양측의 대치 때마다 중재에 나섰던 공익위원들이 예년처럼 '합의 아닌 합의안'을 만들 시기가 오는 13일 밤 또는 14일 새벽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공익위원 측이 마련한 안을 놓고 표결을 할 경우 현재 결원이 생긴 근로자 위원 측에서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만큼 막판까지 극심한 진통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. (goldbell@yna.co.kr)<br /><br />#최저임금 #노동 #난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