퇴근길 투쟁에 산별 파업까지…총파업 영향 주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민주노총의 총파업이 열흘째를 향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퇴근길 투쟁이 법원에서 인정되면서 점차 힘을 받는 모양새인데요.<br /><br />이어 산별노조들의 파업도 예정돼있어 산업현장 차질 등 영향이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윤솔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노동·민생·민주·평화 파괴 윤석열 정권 퇴진시키자!"<br /><br />지난 3일 시작된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총파업은 점차 고조되는 분위깁니다.<br /><br />경찰이 민주노총의 저녁 퇴근길 집회를 막기 위해 재차 법원의 판단을 구했지만, 법원은 집회를 허용하며 노조 측 손을 들어줬습니다.<br /><br />지난 3일 총파업에 돌입한 민주노총은 정권 퇴진을 기조로 내걸고, 최저임금 인상과 노조법 2, 3조 개정, 핵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등을 주장하며 전국 동시다발적인 촛불집회 등을 이어왔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는 본격적인 업종별 파업도 예정돼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열린 서비스 연맹 총파업 대회와 공무원 노동자 총파업 대회에 이어, 부분 파업을 벌이는 현대차 노조 등 금속노조의 전국동시다발 지부별 파업대회와, 보건의료노조와 사무금융노조, 전교조와 화섬노조 등이 총파업을 벌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보건의료노조의 총파업은 19년 만인데, 역대 최대 규모가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필수 인력은 남지만 의료 현장에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 "한 4만 5천 명 정도 파업을 할 예정이고요. 13, 14일은 민주노총 파업과 함께 진행해서 예정이 돼 있고요. 17일부터는 우리 자체적으로 파업을 (진행할 예정입니다.)"<br /><br />정부가 강경한 대응을 예고하는 등 극심한 노정 간 갈등을 직면한 채 벌이는 민주노총의 이번 총파업이 향후 어떤 여파를 가져올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민주노총 #총파업 #퇴근길 #산별노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