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 경제가 맞닥뜨린 여러 암초 소식 전해드렸죠. <br> <br>그 결과 빨간불이 켜졌습니다. <br> <br>수출이 부진하면서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인 GDP 순위가 10위권 밖으로 밀려 났습니다. <br> <br>3년 만에 세 계단이나 미끄러졌습니다. <br> <br>신무경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해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, GDP가 3년 만에 세계 10위권 밖으로 밀려났습니다. <br> <br>명목 GDP는 한 나라의 경제 크기를 나타내는데, 2020년과 2021년 10위였다가 3계단 하락한 겁니다.<br> <br>한국의 GDP 순위는 자원 부국인 러시아와 브라질, 호주에 밀렸습니다. <br> <br>2021년 모두 한국 뒤에 있던 나라들입니다.<br> <br>가장 큰 원인은 환율이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한국의 GDP는 원화 기준으로는 3.9% 증가했지만, 달러 기준으로는 7.9% 감소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평균 원화의 가치가 1년 전보다 12.9% 내렸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반면 러시아와 브라질 화폐 가치는 증가했습니다.<br> <br>원자재 가격 급등에 자원 부국들은 강달러 속에서도 화폐 가치를 방어했지만 한국은 수출 부진에 원화 가치가 맥을 못춘 겁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대외 환경 변화에 취약한 한국 경제의 약점이 드러났다고 분석합니다. <br> <br>[하준경 /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중국이나 반도체에 많이 의존을 해서 성장을 해왔는데 이런 방식이 한계에 부딪힌 게 아니냐는 의문을 가져볼 수도 있는 거잖아요." <br> <br>한국의 대외신인도를 떨어뜨릴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김정식 /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] <br>"순위가 낮아진 상태로 장기화 된다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문제가 있다 이렇게 볼 수가 있고 또 수출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. 이런 하나의 지표로 볼 수 있다." <br><br>올해도 한국이 세계 10위권에 진입하긴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무경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><br>신무경 기자 ye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