취업자 수가 3개월 연속으로 30만 명대 증가했지만, 건설업과 제조업 부진으로 증가 폭은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반기에도 취업자 증가 폭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취업자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33만 3천 명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돌봄 수요 확대와 일상회복 영향으로 보건복지업과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숙박음식업도 소비지출과 관광객 증가로 증가세가 유지됐고, 예술·스포츠·여가업은 공연 증가 등에 힘입어 증가 폭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부동산 경기 부진 여파로 건설업 취업자는 7개월 연속으로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제조업도 수출 감소와 생산 부진으로 6개월째 고용이 뒷걸음질 쳤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취업자 수는 3개월 연속 30만 명대 증가를 기록했지만, 증가 폭은 둔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운주 /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: 돌봄 수요와 외부활동 증가 등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긴 하지만 건설경기 등의 영향으로 취업자 증가 폭은 전월에 비해서 축소되었고,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.] <br /> <br />고령층 취업자는 증가하고 청년층은 감소하는 흐름도 계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60세 이상에서 34만 3천 명 늘었지만, 15∼29세 청년층은 11만 7천 명 줄어 8개월째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저출산·고령화 추세가 고용시장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하반기에도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지만,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 둔화 영향 등으로 증가 폭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산업현장에 빈 일자리가 지속하는 등 업종에 따라 노동시장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, 근로여건 개선과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정철우 <br />영상편집:박정란 <br />그래픽:최재용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71223244820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