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저임금 막판 진통…15년만 '합의 타결' 주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논의가 길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매년 중재안을 제시해오던 공익위원들이 노사간 합의점을 찾기 위해 대화를 적극 유도하고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실제 최저임금을 놓고 합의 타결에 성공할 경우 15년만의 일입니다.<br /><br />안채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열세번째 만남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이 정해질 거란 관측이 많았지만 합의안은 나오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공익위원들은 중재안 제시 대신 경영계와 노동계가 합의를 이루도록 하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 "공익위원은 노사가 최저임금 수준의 자율적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습니다. 합의가 어려운 경우 제도가 허용하는 시한까지 회의를 연장해서 논의를 계속…"<br /><br />양측은 세 차례 정회와 속개를 반복하고 두 차례 수정안을 제출하며 접점을 찾으려 시도했습니다.<br /><br />최초요구안 제시 때 2,590원에 달했던 격차가 6차 수정안에선 근로자위원이 1만 620원, 사용자위원이 9,785원을 제시하며 835원까지 폭이 좁혀졌습니다.<br /><br />논의에 진전이 있는 만큼 공익위원들은 노사가 양보할 수 있도록 독려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대화를 통해 접점을 찾으면 2008년 이후 15년 만에 합의를 통해 최저임금이 결정됩니다.<br /><br />8월 5일이 최저임금 고시일인 만큼 18일 14차 회의에서 결론을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은데, 의견 조율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지난해처럼 공익위원이 중재안을 제시하고 표결에 부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근로자위원 중 한 명인 김준영 금속노련 사무처장이 구속돼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의 인원에 차이가 있는 상황.<br /><br />표결 결과에 따라 노동계 측이 반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. (chaerin163@yna.co.kr)<br /><br />#최저임금 #협상 #합의 #타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