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양평 고속도로 백지화의 불똥이, 고속도로 통과 예정지인 경기 하남과 광주까지 튀었습니다.<br> <br>서울까지 20분 만에 갈 수 있을 걸로 기대했던 지역 주민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> <br>김태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5년 뒤 3만 2천 가구 규모의 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인 하남 교산 신도시 부지. <br><br>교통 대책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 <br> <br>당초 국토교통부는 광역 교통 대책으로 서울양평고속도로를 제시했습니다. <br><br>서울 강남권까지 20분이면 갈 수 있다는 기대가 물거품이 돼버린 겁니다. <br> <br>이곳은 서울 양평고속도로 나들목 예정 부지인데요. <br> <br>고속도로가 들어서면 서울까지 20분 만에 갈 수 있다는 기대가 컸지만 사업이 백지화되면서 주민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> <br>고속도로가 없는 상황에선 서울까지 가려면 좁은 도로를 달려 1시간 이상 가야 합니다. <br> <br>지금도 정체가 심한데 신도시가 조성된다면 교통지옥이 불보듯 뻔합니다. <br> <br>[박옥순 / 경기 하남시] <br>"신도시가 돼서 인구가 늘어나면 여기는 마비야. 이것(고속도로 백지화)까지 되면 우린 죽으라는 거나 마찬가지예요." <br> <br>역시 서울-양평고속도로 노선이 예정됐던 경기 광주시 퇴촌면.<br> <br>30년 넘게 그린벨트에 묶여 있던 탓에 고속도로에 대한 기대가 컸습니다.<br> <br>[석봉국 / 경기 광주 퇴촌면 면장] <br>"상수원 구역과 그린벨트로 별다른 재산권 행사를 못하는데도 철회할 것이 아니고 조속하게 추진을 해줘야지…" <br> <br>일부 주민들은 소음과 분진이 우려되니 교각 대신 터널로 건설해 달라는 의견을 낼 계획이었지만 백지화 선언과 함께 모두 중단됐습니다. <br> <br>[여인원 / 퇴촌면 이장협의회장] <br>"국회의원이라든가 다른 당 위원장이라든가 이런 분들을 찾아뵙고 터널로 가는 안을 부탁했었는데, 그 후에 바로 정쟁이랄까, 지금 이런 사태가 됐거든요." <br> <br>정치권 공방이 이어지며 고속도로 건설이 그야말로 안갯속에 빠진 상황. <br> <br>결국 고통은 주민들 몫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재덕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