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중호우로 도심이 물에 잠겨 인명 피해로 번지는 경우가 되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지나고 보면 모두 대비와 점검이 부족했던 '인재'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집중호우가 예상될 때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차상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어른 키보다 더 깊은 저수지가 된 도심 도로. <br /> <br />지난 2020년 집중호우로 3명이 숨진 부산 초량지하차도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4년 부산 동래구에서도 지하차도가 침수되면서 2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집중호우 때마다 반복되는 침수 사고와 인명 피해를 막으려면 배수시설을 잘 갖추는 것만큼 평소 관리도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배수펌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, 특히 많은 비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수준인지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상만 / 한국재난안전기술원장 : 기후변화 때문에 폭우가 갑자기 내리는 일이 지속하고 있습니다. 특히 배수시설의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고요. 유지 관리에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배수구 역할도 중요한데 일부러 덮개로 막거나 각종 쓰레기로 막히는 경우가 많아서 장마철 전에 잘 점검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물이 차오르기 시작한 지하차도는 차량 진입을 막는 게 최우선입니다. <br /> <br />'아직은 건널 수 있다'는 운전자 방심이 돌이키지 못할 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담당 지자체는 자동 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점검해야 하고 없는 곳에는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. <br /> <br />도심 가운데 특히 해안지역은 만조 시각을 고려한 대비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바다 근처 하천 수위가 높아지면서 침수피해가 반복되는 지역이 많아, 배수시설을 미리 점검하고, 물막이 판과 모래주머니도 충분히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[이영주 /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: 세대에 차수판 설치 등 예방 조치와 물막이판과 빗물받이를 정비하는 것도 꼭 하시길 당부드립니다.] <br /> <br />여러 대비에도 침수가 생겼다면 바로 빠져나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지자체에서 도입하는 침수 정보 지도를 활용하면 침수 예상 지역과 대피 장소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차상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차상은 (chas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71523193444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