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외신들도 한국의 심각한 폭우 피해 상황을 비중 있게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, 중국의 사례를 함께 들며 동아시아가 기후위기에 직면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가 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주요 통신사와 미국 매체들은 한국의 폭우 상황을 자세히 타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타임스(NYT)는 충북 오송 지하차도 침수 피해를 상세히 다루면서 며칠 동안 한국을 휩쓴 장맛비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많은 주택이 물에 잠기고 기차와 항공편 운행이 취소됐으며 수만 명의 전기 공급이 끊겼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신문은 지난해 8월 기록적인 폭우로 한국에서 14명이 숨지고, 2020년에는 몇 주에 걸친 홍수와 산사태로 48명이 사망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통신은 "지난해 서울이 115년 만에 가장 큰 폭우로 극심한 피해를 입은 뒤 정부가 폭우 대비를 강화하겠다고 다짐했음에도 이번 재난이 발생했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송 지하차도에서 구조된 생존자가 "침수가 예상될 때 정부가 지하차도 접근을 막았어야 했다"며 분개한 내용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블룸버그통신도 "한국은 매년 여름 폭우로 고통받고 있고, 자연재해로 해마다 수십 명이 사망한다"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신들은 기후위기를 원인으로 꼽은 전문가들의 분석도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CNN 방송은 "과학자들이 기후위기로 기상이변 가능성이 높아지며 동아시아에서 폭우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"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달 초 중국 남서부에서 홍수가 발생해 충칭에서만 15명이 숨진 데 이어 최근 일본에서도 폭우가 쏟아져 25명의 사상자가 나온 것을 사례로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김희정 <br /> <br />그래픽;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현 (ss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71705391300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