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두 번째 이게 문제죠. <br><br>지하 차도가 물에 잠길 것 같으면 통제 했어야 되는데 안 한 거죠. <br> <br>구청 시청 도청 모두 서로 탓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용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하차도 침수 발생 4시간 반 전인 지난 15일 새벽 4시 10분쯤 금강홍수통제소는 미호천교 주변에 홍수 경보를 발령합니다. <br><br>충북도청과 청주시, 흥덕구청 등 관계 기관 76곳이 재난통신망을 통해 모두 경보 메시지를 받습니다.<br> <br>그러나 사고 직전까지 지하차도 통제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[충북도청 관계자] <br>"사고가 나기 전까지도 전혀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평상시대로 관리를 했던 것이고 불과 14~15분 사이 저쪽에서 관리하던 게 터지면서 물이 들어오니까…" <br> <br>미호천교 바로 인근에 있는 궁평 제2지하차도는 지방도로에 해당해 충북도청이 관리합니다.<br> <br>메시지도 받고 모니터링도 했지만 전혀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입니다.<br><br>다른 지자체의 적극 조치도 없었습니다. <br><br>오전 6시 30분쯤 금강홍수통제소는 미호천 수위가 계속 상승하자 <br><br>직접 흥덕구청에 전화했습니다. <br> <br>수위가 심각 단계에 도달해 지자체 매뉴얼에 따라 주민 대피 등 조치를 하라는 내용입니다.<br> <br>흥덕구청은 청주시청에 이를 전달하고 문의할 뿐이었습니다. <br> <br>[흥덕구청 관계자] <br>"저희 행동 매뉴얼 보면 구청은 주민 대피시키는 매뉴얼이 아예 없어요. 구청 자체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요" <br> <br>청주시청은 충북도청에 전달조차 하지 않았습니다.<br> <br>[청주시청 관계자] <br>"미처 거기까지는 여력이 없다는 말씀. 우리 쪽에만 신경 쓰는 쪽도 급했다는 얘기죠." <br> <br>"할 수 있는 게 없다", "여력도 없었고 도청 소관이었다", "상황은 안정적이었다" 지자체들이 소극적으로 대응한 사이 강물은 범람해 시민들을 삼켜버렸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