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 가계부채 세계 3위…"성장 발목 잡을수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기준금리가 제자리걸음을 하는 사이 가계부채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 가계 빚 부담은 규모나 증가 속도가 세계 최상위 수준이라 우리 경제가 풀어야 할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0년까지만 해도 주요 43개국 중 14번째.<br /><br />하지만 지난해 말에는 105%를 기록하며 스위스와 호주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팬데믹 기간 저금리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등이 급격히 늘어난 게 주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소득 대비 빚 상환 부담 정도인 DSR 비율로 따지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2번째로 가계 빚 부담 증가 속도가 빠릅니다.<br /><br /> "부동산 경기 연착륙을 위해서 일정 부분 금리를 계속해서 하향 안정화시키는 그런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가계부채는 하반기에 다시 또 증가하는 모습을 계속해서 보일 가능성이…."<br /><br />한국은행은 가계부채 증가가 당장은 금융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면서도, 장기적으로는 소비가 위축돼 성장률을 낮추고 자산 불평등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DSR 대출 규제의 예외를 줄이고, 이자만 내다 만기 때 한꺼번에 원금을 갚는 일시상환 대출에 가산금리를 붙여 손쉽게 큰돈을 빌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시장 불안 최소화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연착륙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 "가계부채는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단기적으로 급격하게 조정하려고 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크게 생길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가계부채 문제가 다시 우리 경제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향후 통화·재정 정책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(trigger@yna.co.kr)<br /><br />#한국은행 #가계부채 #기준금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