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보신 것처럼 주민들은 기존 제방을 허물고 임시 제방을 지으면서 허술해졌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기존 제방을 허물 때 행복청이 물관리 담당 기관인 환경부에 제대로 허가를 받았는지가 논란입니다. <br> <br>환경부가 답을 제대로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송정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미호천교 임시제방을 무너뜨리며 넘쳐버린 강물은 불과 400m 거리의 궁평 제2지하차도를 집어삼켰습니다.<br><br>임시 제방이 부실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, 공사주체인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기존 제방을 허물고 임시제방을 쌓도록 허가한 관리 주체가 누구인지 책임론도 불거졌습니다.<br><br>관리주체인 환경부 금강유역환경청은 하천점용 허가는 내줬지만, 제방 공사에 대해선 "명시적으로 허가를 해준 것은 없다"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환경부 A 관계자는 오늘 오전 채널A의 문의에 "제방 등 기존 시설을 변경하려면 추가로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이 없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논란이 불거지자 행복청도 입장을 냈습니다. <br> <br>행복청은 "하천점용허가를 낼 때 임시제방의 증축과 관련한 공문을 금강유역환경청에 보냈고, 이후 '안전하게 시공하라'는 회신을 받았다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, 사실과 다른 보도에 대해서는 엄정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채널A는 오후 환경부 측에 다시 물었습니다. <br><br>환경부 B 관계자는 "일부 행복청과 협의에서 임시 제방과 관련해 의견을 제시한 바가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또 "행복청에서 제방과 관련해 축조와 철거 여부에 대해 문의한 사실이 있고, 안전성을 확보하라는 답변을 했다"는 겁니다. <br> <br>명확히 제방 변경을 허가하진 않은채 안전성을 당부했다는 겁니다. <br><br>대신 환경부 차원의 공식적인 답변을 내놓지는 않았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송정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송정현 기자 sso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