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5개월 연속 상승하며 바닥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거래된 서울 아파트값이 전고점 가격의 87%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,400여 가구에 이르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대표적인 단지. <br /> <br />전용면적 84㎡가 최근 36억 원에 팔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5월 최고 38억 원 신고가를 기록한 뒤 지난해 말 31억 원까지 7억 원 급락했다가 다시 5억 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전고점에 비해 약 95%까지 실거래가가 근접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[반포동 공인중개업소 : 조경이나 그다음에 아파트 자체 구조 같은 게 다른 데보다 우수하거든요. 그리고 또 빼놓을 수 없는 게 이제 학군인데 그런 것 때문에 아마 래미안 퍼스티지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아마 가격이 예전 전고점 가까이 지금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또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전용 82㎡는 2021년 11월 최고 32억7천880만 원을 찍었다가 지난해 말 22억 원까지 10억 원 이상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달 고점의 88% 선인 28억7천600만 원을 회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서울아파트값은 전고점의 87%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강남·서초·용산 아파트값은 전고점 가격의 90% 이상 올라선 반면, 노원·도봉·강북구 등 강북지역은 고점 대비 회복률이 서울 평균에도 못 미치는 등 강남과 비강남권의 격차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5개월째 상승세입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와 인천도 4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부동산 바닥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 자산관리연구원 원장 :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은 바닥을 찍었거나 저점을 탈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하지만 역전세난이 여전하고 새마을금고 사태와 프로젝트 파이낸싱 불안, 가계부채 확대 등으로 전체 시장의 추세 상승을 확신하기는 어렵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향후 주거 환경과 미래 가치에 따라 아파트 가격 양극화 현상은 더 심화할 것으로 전망합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희정 <br />그래픽 : 우희석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우 (dw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71902082355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