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송 지하차도에 물이 급속도로 차오르게 만든 원인으로 인근 하천에 만들어진 임시제방이 손꼽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천 수위가 높아졌을 때 물을 막지 못하고 힘없이 무너져 버렸는데요. <br /> <br />전문가 집단까지 포함된 합동 감식단이 지하차도 내부와 함께 제방에 대한 추가 감식을 내일(20일) 진행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권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충북 청주시 오송읍의 미호천교, <br /> <br />침수 사고가 발생한 궁평2 지하차도와 500m 떨어진 이곳엔 흙 부대로 만든 임시 하천제방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겹겹이 쌓아 어느 정도 높이가 있어 보이지만 이 제방은 환경부가 정한 홍수 수용 범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제 위로 보이시는 것처럼 다리 철골에 엉켜있는 지푸라기들이 사고 발생 당시 하천이 얼마나 높이 범람했는지 알 수 있게 해줍니다. <br /> <br />이에 경찰은 기존 제방을 허물고 임시 제방을 만든 '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청', 행복청을 수사 대상에 올려놨습니다. <br /> <br />부실 공사가 있었던 건 아닌지, 들여다 보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경찰 관계자 : (임시) 제방 설치가 적정했는지 높이라든지 안이 견고했는지 그래서 이 수압을 다 이겨낼 수 있었는지 이런 부분을 다 살펴보는 거죠.] <br /> <br />임시로 만든 제방이다 보니 물이 사이사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점착력도 약한 데다가 시공 설계도보다 실제 높이가 한참 못 미쳤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조원철 /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 : 자루에다가 흙을 500kg 내지 1t 정도 넣어서 밑바닥에서부터 저 위에 물보다 더 높게 계획 홍수위보다 더 높게 설치해야 하거든. 그렇게 높게 안 했다고요.] <br /> <br />이번 침수사고에서 지하차도 내부 현장에 있는 배수펌프 시설이 잘 작동했는지도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빗물과 하천에서 흘러 내려온 흙탕물이 단 몇 분 만에 지하차도를 가득 채워 인명 피해를 키웠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합동감식에는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, 그리고 도로건설 전문가 집단이 참여해 지하차도의 설계 구조부터 전반적으로 살필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지난 일요일 오전에 1차 감식한 미호천교 임시 제방에 대해서도 추가 합동감식을 진행해 하천범람 상황을 재구성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준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신홍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수 (kjs81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71921232149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