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람처럼 비행 조종 메뉴얼을 읽고 이해해 항공기를 직접 조종할 수 있는 파일럿 로봇이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시뮬레이터 수준에서 작동하지만 5년 안에 사람을 대체해 군용 항공기 조종 등 실용화도 가능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항공기 조종석에 앉은 로봇이 팔을 뻗어 스위치를 올립니다. <br /> <br />계기판 화면이 켜지자 손가락을 움직여 시동을 걸고 조종간을 움켜쥡니다. <br /> <br />비행 준비를 마친 로봇은 이륙을 시도하더니 조종간을 좌우로 움직이며 비행을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인간형 파일럿 로봇 '파이봇'입니다. <br /> <br />파이봇은 키 165cm의 인간형 휴머노이드로, 장착된 6대 카메라를 이용해 팔과 손, 다리를 움직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인공지능이 적용돼 일반언어로 된 비행 조종법은 물론 전 세계 항공 차트, 비상대처 매뉴얼 등을 파일 형태로 읽고 이해하며 조작합니다. <br /> <br />[윤국진 /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: (항공기) 조작을 위해서는 로봇 손이 작은 버튼을 누를 수 있을 정도의 정밀한 3차원 정보가 제공돼야 합니다. 저희 카메라로는 상황 인식뿐만이 아니고 제어에 필요한 3차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현재 항공기 내 소프트웨어 형태로 있는 오토파일럿은 인간 조종사가 직접 켜고 작동시켜야 하지만, 파이봇은 조종석 개조 없이도 어느 항공기에나 앉혀 사람처럼 직접 조종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행 중 시동이 꺼지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파이봇은 즉각적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시동을 다시 켜는 등 빠른 비상 대처가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파이봇은 현재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에서 시동과 활주로 이동, 이착륙, 순항 등 항공기 조종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수행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[심현철 /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: 아직 개발 단계로서 사람을 완벽하게 대체할 수는 없지만, 좀 더 기술을 개발해서 로봇의 신뢰성과 정확성이 올라간다면 언젠가는 인간 조종사를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데까지 가는 데 한 5년 정도는 걸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팀은 파이봇이 개발 초기인 만큼 로봇의 정밀도와 반응 속도를 높이고 몸체를 경량화하는 등의 후속 연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또한, 개발한 기술은 항공기 조종뿐 아니라 자동차나 탱크 등의 조종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72001254823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