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입산 쓰고 찔끔 쓰면서…우윳값 오르면 도미노 인상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유 원윳값 인상을 두고 낙농가와 우유업계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유를 재료로 하는 식품들도 가격이 따라 오를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데요.<br /><br />만약 식품업체들이 그렇게 한다면 좀 문제일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왜 그런지 서형석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원윳값 인상으로 900mℓ 흰 우유 한 팩이 3,000원을 넘을 것이란 소식은 관련 식품도 줄줄이 값이 오를 수 있다는 우려를 낳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그러기엔 실상이 좀 다릅니다.<br /><br />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유와 유제품을 재료로 쓰는 비중은 60% 대의 아이스크림을 제외하면 커피류가 약 31%로 가장 높고, 빵과 과자는 각각 5%, 1%에도 미치지 못합니다.<br /><br />더구나 최근엔 카페에서도 국산 절반 값인 수입산 멸균우유가 많이 쓰이고, 아이스크림도 고급 제품이 아니면 대부분 수입산 탈지분유가 쓰인다는 게 업계 관계자 설명입니다.<br /><br />국산 원유는 생산량 대부분인 77%가 마시는 흰 우유 제조에 들어가는데, 탈지분유는 국산 원유 사용률이 28%, 버터와 치즈는 6.1%, 1.8%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식재료로 넓혀 보면 국내 원유 자급률은 2001년 77%였던 것이 작년엔 44.8%까지 뚝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국산 원유가 너무 비싸 식품 원료로 덜 쓰이고, 그 자리를 수입산이 대체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 "사실 식품류의 원료로 사용되는 (국산) 우유의 비중은 상당히 작습니다. 원유 가격 인상으로 인해서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되는 밀크플레이션 우려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…"<br /><br />하지만 식료품 업계는 제품 가격 인상의 기회로 여기는 형편입니다.<br /><br /> "우유뿐이 아니라 지금 최저시급도 또 올랐고 전체적으로 봤을 때 어떻게 해야될 지는 분석을 해봐야…"<br /><br />정부가 우윳값 인상을 빌미로 한 식품업계 가격 인상 도미노를 얼마나 끊어낼 수 있을지 미지수인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밀크플레이션 #우유 #수입멸균우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