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부패, 이권 카르텔 이야기 많이 나오는데요. <br><br>이번엔 제약회사 카르텔 소식입니다. <br> <br>독감 백신, 간염 백신 이런 기본 백신은 국가가 예산을 들여 직접 구매하는데요. <br><br>제약사들이 담합해 부풀린 가격으로 낙찰받아 폭리를 취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<br>이런 방식으로 7년간 7000억 원어치 계약을 따냈다고 합니다. <br>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매년 가을이 되면 맞는 독감 예방 접종. <br> <br>정부가 예산을 들여 백신을 구매한 뒤 보건소와 병원에 공급합니다.<br><br>정부는 세금을 아끼려고 최저가 입찰을 통해 백신을 구매하는데, 이 과정에서 담합을 한 백신 사업자 32곳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. <br> <br>해당 백신은 독감과 간염 결핵·자궁경부암 백신까지 모두 24개 품목. <br> <br>국내 유명 제약사인 녹십자, 광동제약에 글로벌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까지 공정거래위원회는 담합에 참여한 32곳 중 29개 업체에 409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.<br> <br>과징금 72억 원을 맞은 한국백신판매는 도매상들에 전화를 걸어 더 높은 가격을 써 들러리를 서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><br>이를 통해 2017년부터 3년간 157억 원어치의 정부 백신 사업을 따냈습니다. <br><br>입찰에 참여하지 않을 땐 타사의 들러리를 섭외해줬습니다.<br><br>담합을 통해 제약사들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 간 따낸 계약은 총 147건, 7000억 원에 달합니다.<br><br>공정위는 이 중 117건이 부풀린 가격으로 낙찰됐다고 봤습니다. <br> <br>[한기정 / 공정거래위원장] <br>"(가격이)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입니다. 결국 이 사건, 입찰 담합으로 정부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되지 못했다." <br> <br>공정위는 국민 건강에 꼭 필요한 백신의 입찰 담합에 대해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정승호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