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북 새만금이 국가 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최종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맨 처음 농지로 계획된 간척지가 첨단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김민성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90년대 우리나라 새 식량 생산기지라는 계획으로 개발 첫 삽을 뜬 전라북도 새만금. <br /> <br />바다를 메워 만든 드넓은 땅이 국가 첨단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이 마련됐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부는 국가 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전라북도를 비롯해 울산 등 4개 지역을 선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경안 / 새만금개발청장 : 정부에서는 이차전지 산업을 국가 첨단전략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이번 국가단지 지정 지역에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서….] <br /> <br />애초 전북은 이번 결정을 앞두고 경쟁에 나선 곳들 가운데 비교적 후발주자로 평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3월 이후 국내 주요 이차전지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쇄도가 이어지고, 정부가 특화단지로 여러 곳을 선정할 수 있다는 낙관론이 번지며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전라북도는 대규모 단일부지 제공이 가능하고, 법인세와 소득세 최대 100% 감면이 가능한 국내 유일 지역이라는 강점을 부각했는데, 전략이 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결정으로 8조 5천억 원의 생산유발과 2조 7천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, 3만 2천 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할 거라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만약 현실화한다면 인구 유출 등 지역이 마주한 문제를 완화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라북도는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관영 / 전라북도지사 : 2~3년 후에는 괜찮은 일자리가 새만금 곳곳에 있게 될 것입니다. 전북의 청년들이 고향에서 일할 수 있게 됐다는 사실만으로도….] <br /> <br />다만 열악한 교육·연구 인프라 때문에 선정 과정 내내 약점으로 꼽힌 핵심 인재 공급과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 확보는 전북이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새만금이 이번에 함께 이차전지 특화단지가 된 울산 등 나머지 3개 지역과 어떤 차별화를 이뤄낼지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성 (kimms0708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72017172116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