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A 라이브 (12시~13시 20분)<br>■ 방송일 : 2023년 7월 21일 (금요일)<br>■ 진행 : 이용환 앵커<br>■ 출연 : 김유정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, 박원석 전 정의당 의원, 서정욱 변호사, 정미경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<br><br>[이용환 앵커]<br>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. 그런데 조금 전 우리 주제의 제목은 안타까운 일이 있었는데 ‘가짜뉴스.’ 무슨 일일까요? 한번 보시죠. 지난 18일, 며칠 전에 서울의 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가 선생님이 교보재 준비실. 그러니까 학교 건물 안에 있는 교보재 준비실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습니다. 경찰이 왜 저렇게 돌아가셨을까. 왜 극단적 선택을 해야만 했을까. 사망 원인을 두고 수사 중입니다. 추모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이렇게요. 20대 선생님이라고 하는데, 왜 이제 막 꿈을 펼치기 시작하는 선생님이 돼서 인생을 한참 살아가야 하는 저 선생님은 왜 극단적 선택을 해야만 했을까. 같이 슬퍼하는 추모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그런데 한 명의, 이분을 무엇이라고 제가 말씀을 드려야 할까요? 방송인이라고 해야 할까요? 글쎄요. 이런 의혹을 제기했습니다. 들어보시죠.<br><br>김어준 씨가 이렇게 주장을 한 거예요. 저 선생님이 극단적 선택을 한 그 배경에는 국민의힘 소속의 3선 의원이 있다. 그런데 이 사안도 대단한 파장이 있을 사안이다. 어제 저렇게 주장을 했습니다. 국민의힘은 ‘김어준 씨 말이에요. 가짜뉴스 퍼트렸죠?’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오늘 오전 11시에 김어준 씨를 국민의힘이 경찰에 고발했습니다. 지금 보시는 바와 같이요. 이렇게요. 더 이상 묵과할 수 없습니다, 김어준 씨. 한두 번도 아니고요, 가짜뉴스를 퍼트렸으니 경찰에 고발하겠습니다. 이렇게 해서 고발을 했어요. 김유정 의원님. 김어준 씨는 무슨 근거를 가지고 한 이야기일까요?<br><br>[김유정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]<br>글쎄요. 이제 ‘알려져 있다.’ 처음에 이렇게 표현하다가 ‘정정한다.’라고 또 이야기를 했어요. 그런데 지금 이 코로나 시기에 선생님들이 정말 고생 많이 하셨죠. 또 요즘에는 임용고시 합격한다고 해서 곧바로 발령이 나는 것도 아닙니다. 상당히 몇 년 기다리기도 하고요. 쉽지 않은 일이고. 작년에 이제 교사로 임용이 되신 분이에요, 초등학교에. 그래서 정말 이 교직에 대한 부푼 꿈을 안고 아마 그렇게 꿈을 펼쳐 가리라, 아이들과 함께. 이렇게 생각하고 열심히 아마 근무를 하셨던 선생님이셨을 텐데. 지금 이 안타까운 죽음 앞에서 ‘왜 이렇게 극단적 선택을 했을까.’에 대한 정말 투명하게 진상 조사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.<br><br>그런데 이런 부분을 정확한 증거나, 본인이 설사 그것을 진실로 봤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쉽게 표현할 수는 없는 부분이거든요? 그런데 정확한 사실 팩트체크도 없이 이런 이야기를 이렇게 했다는 것. 그것이 끼칠 영향은 또 얼마나 일파만파입니까. 그래서 정정 보도하면서 그러면 ‘죄송하다.’ 이런 이야기라도 조금 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? 그래서 이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. 그리고 이것은 이제 어떤 이유에 그런 이 불행한 극단적 선택의 상황이 왔는지 모르겠습니다만, 이 포커스가 잘못 어긋나고 있는 것이잖아요.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한 원인을 밝히고 거기에 대한 해결책을 지금 내놓고 해야 할 그런 시점인데 김어준 씨의 이런 이야기들 때문에 완전히 방향이 지금 비틀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감입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도혜원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