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초등학교 교사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유는 뭘까. <br><br>학교폭력 민원 처리 과정 때문인지를 두고 학교와 동료교사의 설명이 엇갈리는데요.<br><br>해당 초등학교가 낸 입장문이 달라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김용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해당 초등학교가 어제 학부모들에게 공지한 가정통신문입니다. <br><br>학급에서 학생들 사이에 연필로 이마를 그은 사건을 거론하며, 해당 건은 "학교의 지원 하에 다음날 마무리됐습니다"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 <br> <br>히지만 그 뒤에 배포된 학교 공식 입장문에는 이 내용이 빠졌습니다. <br><br>학생들이 받을 충격에 대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문구도 사라졌습니다. <br><br>이 내용이 공식 입장문에서 왜 빠졌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<br><br>교육당국은 해당 사건이 양측 부모의 합의로 마무리됐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설명합니다.<br> <br>학교 측이 제출한 사건 보고서에서도 "학부모가 웃으며 돌아갔다"고 고인이 언급했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동료교사들 말은 다릅니다. <br> <br>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고인이 학부모로부터 수십통 전화를 받는 등 많은 부담을 받았다는 주장입니다. <br><br>[장대진 / 서울교사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] <br>"(제보에 따르면) 학부모가 교무실에 가서 엄중하게 좀 민원을 제기했었고요, 교사로서의 자격이 없다느니, 어찌보면 교사의 자존심을 꺾는…" <br> <br>평소 이 학교의 민원 수준이 '상상을 초월할 정도'라며 학교폭력 민원과 관련된 대부분 학부모가 법조인이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[장대진 / 서울교사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] <br>"해당 학부모가 '내가 ○○아빠인데, 변호사다. 법조인이다' 이런 말로 겁박을 주는 것이지 않겠습니까" <br> <br>별 문제 없이 해결됐다는 학교 측과, 고인이 생전 마음 고생이 심했다는 동료교사들의 주장이 엇갈리면서 진실공방으로 번지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 <br><br>영상취재: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정다은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