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, 해당 오송 파출소와 흥덕 경찰서, 충북 경찰청 모두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요. <br> <br>채널A가 직접 접촉해봤습니다. <br> <br>홍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경찰에 112신고가접수된 건 오전 7시2분과 7시58분, 궁평제2지하차도가 침수되기 각각 1시간 38분과 42분 전입니다. <br> <br>당초 오송파출소 경찰관이 궁평2지하차도 대신 궁평1지하차도로 출동했다고 해명했지만, 국무조정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힌 상황. <br> <br>의혹의 중심에 선 파출소 측은 입을 굳게 다물었습니다. <br><br>더이상 묻지 말라면서도 속에 있는 불만은 감추지 않았습니다. <br><br>[오송파출소 A 관계자] <br>"정말 진짜 어디가 잘못됐는지 제일 잘 아시잖아요." <br> <br>[오송파출소 B 관계자] <br>"저희한테 또 화살을 돌릴 거예요." <br> <br>자신들을 희생양으로 몰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대목입니다. <br> <br>윗선인 충북경찰청은 경찰관이 모두 현장에서 교통 통제 근무를 했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<br>대신 당초 밝혔던 궁평1지하차도가 아닌, 인근 교차로에서 근무했다고 말을 바꿨습니다. <br><br>[충북경찰청 관계자] <br>"궁평1로타리를 나간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고… 지하차도에서 근무 안 했다고 하면 그건 너무 가혹한 잣대죠" <br> <br>신고를 받고 현장에 나간 건 맞는지 묻는 질문엔 말을 아꼈습니다. <br><br>또다른 관계자는 "현장 경찰관들의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실제 현장에 갔는지 알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부실한 현장 대응 논란이 불거지며 경찰 책임론이 부각되는 상황, 팽팽히 갈린 입장 속에는 책임 떠넘기기 모양새도 감지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홍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