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원판에 화살을 던져 점수를 겨루는 다트 게임, <br><br>최근 우리나라에서 세계대회까지 열릴 정도로 인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이 다트의 매력에 빠진 2030 직장인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윤철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차분하게 숨을 고르더니, 이때다 싶어 재빠르게 다트를 던지는 프로선수. <br> <br>2.4m 거리에서 한 가운데로 쏙쏙 들어갑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나이스!" <br> <br>선수가 아닌 일반인들도 다트를 던지는 눈초리가 매섭습니다. <br> <br>4년 만에 한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다트 대회. <br> <br>프랑스와 중국 등 전 세계에서 온 프로와 동호인 2400명이 참가했습니다. <br> <br>[김세린 / 서울 강남구] <br>"원하는 곳에 맞혔을 때 쾌감이 짜릿하고요. 성취감이 엄청납니다." <br> <br>일상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색스포츠 다트는, 최근 MZ들의 특별한 취미가 됐습니다. <br> <br>밤 9시, 다트장에는 퇴근 뒤 모인 동호인들이 가득합니다. <br> <br>유니폼까지 맞춰 입고, 원하는 곳으로 다트를 보내진 못해도 마음은 이미 프로입니다. <br> <br>[아네트 테일러 / 다트 동호인(미국)] <br>"한국에서 다트를 처음해봤는데요. 너무 재밌고, 다트 기기의 터치 스크린 등 화면도 멋집니다." <br><br>2010년 1천 명이었던 동호인은 올해 기준 3만 명이 됐습니다.<br><br>다트는 중앙이 가장 점수가 높은 양궁과는 다릅니다. <br><br>중앙에 가까운 테두리를 맞추면 점수는 3배가, 먼 테두리는 2배가 됩니다.<br><br>예를 들어 20점 구역의 안쪽 테두리에 꽂히면 60점으로 50점인 중앙 보다 고득점에 유리합니다.<br><br>반복 연습으로 정확도를 높이는 게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. <br> <br>[이화랑 / 다트 선수] <br>"조준한 상태에서 그대로 뒤로 왔다가 '슝'하고 날리는 거죠." <br> <br>[현장음] <br>"힘 있게! 그렇죠!" <br> <br>긴장감 끝에 찾아오는 명중의 쾌감. 다트의 진정한 매력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윤철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천종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