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의 거점인 흑해 연안의 항구 도시 오데사를 또 공습해 최소 1명이 숨지고 18명이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오데사 지역 군정 책임자인 올레흐 키페르는 텔레그램에서 "오데사가 테러리스트들의 야간 공격을 받아 불행히도 민간인 1명이 사망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키페르는 현지시각 23일 새벽 3시 러시아의 공격으로 어린이 4명을 포함해 18명이 다쳤으며, 이 가운데 어린이 3명 등 14명이 지역 병원에 입원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공군은 러시아가 23일 새벽 오닉스 미사일과 칼리브르 순항 미사일을 오데사로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측에 따르면 러시아는 곡물 관련 시설을 집중적으로 공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 언론들은 이번 공격으로 민간 거주 건물과 종교 시설도 파괴됐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데사 최대 정교회 건물인 스파소-프레오브라젠스키 성당이 공격으로 크게 파괴됐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는 전쟁 중에도 흑해 항구를 통한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을 보장하는 흑해곡물협정을 중단한다고 지난 17일 선언한 이후 거의 매일 오데사를 공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은 우크라이나 디지털혁신부 데이터를 인용해 22일 밤부터 우크라이나 여러 지역에 공습경보가 발령됐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밤사이 오데사, 미콜라이우, 헤르손의 우크라이나 통제 지역과 키로보흐라드,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등에서 공습경보가 울렸습니다. <br /> <br />23일 오전에는 폴타바, 하르키우, 체르니히우, 수미 등에 경보가 발령됐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주요 시설에 대한 공격이 우크라이나가 크림대교를 공격한 것에 대한 보복 차원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크림대교는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로부터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연결하는 유일한 육로입니다. <br /> <br />크림대교는 지난해 10월 폭발로 파괴됐다가 복구됐으며, 이달 17일에도 공격받아 민간인 2명이 사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는 이들 공격을 주도했는지에 대해 직접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지난 19일 크림반도 내 군사 훈련장에서 탄약고가 폭발해 대형 화재가 발생한 것을 두고는 우크라이나가 공격 사실을 인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2일에도 우크라이나의 공격으로 크림반도 내 탄약고가 폭발해 교통이 통제됐습니다. <br /> <br />볼로디미르 젤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원배 (wb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72314543237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