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정세 찾던 물가에 수해 등 악재…다시 급해진 정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가까스로 안정세를 찾아가던 물가에 다시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수해 뿐 아니라 해외에서 밀, 원유 가격 상승 등 악재가 산적한 탓인데요.<br /><br />전체 물가 둔화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는 정부도 물가 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상승률 2.7%를 기록하면서 21개월 만에 2%대로 내려온 소비자물가.<br /><br />겨우 진정되는가 했지만, 수해등 악재 탓에 다시 상승폭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집중호우로 농지 침수 피해가 잇따르면서 청상추 4kg 도매가는 평균 9만360원으로 4주전 5배가 됐고, 시금치도 같은 기간 3배로 뛰었습니다.<br /><br />라면, 빵값 인하 명분이 됐던 밀가격도 다시 상승세입니다.<br /><br />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곡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한 흑해곡물협정을 파기하면서 밀 선물 가격이 19일 하루 만에 8.5% 급등한 겁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물가 상승 주범이었던 국제유가도 경기 연착륙 기대와 산유국의 감산에 반등 국면입니다.<br /><br />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 가격은 21일 배럴당 77.07달러로, 4주 만에 11.44% 뛰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은 연말까지 물가 상승률이 다시 3%대로 오를 것으로 보고 있어 연내 기준금리 인하 기대도 옅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최근 수해 등에도 물가 둔화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다시 커지는 물가 상승폭에 신속한 피해 복구와 함께 상추, 깻잎, 양파, 닭고기 최대 30% 할인 지원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정부는 호우 피해 지원과 신속한 복구에 재정, 세제, 금융 등 모든 정책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."<br /><br />고물가·고금리가 계속되면 내수 위축으로 경기 회복 지연과 성장률 추가 하락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물가 #수해 #식품 #밀값 #유가 #기재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