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 서초구 초등학교 교사의 극단적인 선택 이후 불거진 교권침해 이슈, 어떻게 하면 교권을 회복할 수 있을까 여러 해법들이 나오는데요. <br> <br>대통령, 교육부장관, 서울시교육감 해결책들이 조금씩 다릅니다. <br>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사립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던 자신의 딸도 교권 침해로 숨졌다는 유가족이 울부짖습니다. <br> <br>[유족] <br>"6개월 전에 제 딸도… 제 딸도 같이 조사해주세요.” <br> <br>서울시교육청과 교원단체들의 교권 침해 방지 개정안 입법 촉구 기자회견 자리에 찾아와 울분을 토했습니다. <br> <br>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의 죽음으로 교권 침해에 대한 심각성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면서 대책들도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.<br><br>교육부는 먼저 학생생활기록부에 해당 학생의 교권침해 행위를 기재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.<br><br>[이주호 / 교육부 장관] <br>"중대한 교육활동 침해 사항에 대해서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도록 하여 가해 학생에 대한 책임도 강화하겠습니다." <br> <br>대학 진학에 불이익을 주겠다는 겁니다.<br><br>이런 내용을 담은 교원지위법 개정과 함께 학생 자율권을 너무 광범위하게 보장하고 있다고 지적되는 학생인권조례도 재정비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조희연 서울시교육감도 학부모 등에 의한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에 맞선 교사 면책권 부여, 가해 학생과 교사의 즉시 분리 등을 담은 법 개정을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교권 침해 행위를 학생부에 기재하는 방안에는 반대했습니다.<br><br>[조희연 / 서울시교육감] <br>"생활기록부에 기재가 되면, 요즘 같은 분위기에서 보면 또 많은 교사를 상대로한 후속 소송이 남발될 것이다." <br> <br>또 학생인권조례 폐지 등은 고려하지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호영 김기범 <br>영상편집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