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관련해, 관계 기관에 대한 수사 의뢰가 잇따라 진행되면서 공은 이제 검찰로 넘어가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지하차도 통제 기준 미준수와 제방 부실 관리 여부를 입증하는 게 수사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박광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송 지하차도 침수 5분 전, 입구를 촬영한 영상입니다. <br /> <br />인근 미호강에서 넘친 물이 맹렬한 기세로 지하차도에 쏟아지지만, 통제 인력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미 바퀴 상당 부분이 물에 잠길 정도지만,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[당시 운전자 : 외부에서는 안이 잘 안 보이죠. 어두워서…. (지하차도 입구가) 내리막길이잖아요.] <br /> <br />왜 차량을 막지 않았느냐는 지적에 지하차도 관리를 담당하는 충청북도는 '규정'을 이유로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차도 내부 수심 50cm라는 기준에 미치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강종근 / 충청북도 도로과장 : (지하차도 중심에서 수심) 50cm가 되면 보통 승용차 바퀴가 반 이상 잠기는 깊이이기 때문에 운행이 위험하다고 판단해서 저희가 통제하게 되는데….] <br /> <br />하지만 서울과 부산 등은 지하차도에 높이 10~15cm의 물만 들어차도 차량 진입을 통제합니다. <br /> <br />수심 50cm면 차량이 멈출 가능성이 있고, 순식간에 물이 들어차는 지하차도 특성상 선제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충청북도는 그마저도 장비 없이 눈대중으로 수심을 판단한 것으로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[충청북도 관계자 : (센서나 그런 건 없나요?) 네, 그런 건 없어요. (50cm면 바퀴 중간 정도 온다?) 통상 그렇게 해서 지금 판단을 하고 있는데….] <br /> <br />미호천교 공사로 원래 제방을 허물고 임시로 설치한 제방이 무너지기 1시간쯤 전 영상입니다. <br /> <br />단 6명이 동원돼 삽으로 흙을 퍼 포대에 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화면 어디서도 중장비 등의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홍수 경보가 발령된 지 2시간을 넘긴 데다, 불어난 강물에 일부 제방은 위태로운 상태였습니다. <br /> <br />[도종환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21일) (행복청 설명처럼) 장비를 동원해서 새벽 4시부터 대처를 한 게 아니라 장비가 보이는 7시 22분 이전까지는 인부 6명이 삽을 들고 (작업한 거죠.)] <br /> <br />지하차도 침수를 부른 미호천교 임시제방의 붕괴. <br /> <br />기존 둑보다 다소 낮게 지어진 임시제방 높이가 적절했는지와 설계대로 시공됐는지 역시 들여다봐야 할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[조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광렬 (parkkr08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72421564559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