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상반기 마약을 몰래 들여오다 적발된 양이 사상 최대치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때 늘어났던 비대면 경로는 다시 여행자를 통한 대면 밀수 방식으로 바뀌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양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불 속을 칼로 찢었더니 솜뭉치 속에 숨겨진 필로폰이 등장합니다. <br /> <br />코코아 덩어리를 송곳으로 깨뜨리자 코카인이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 /> <br />단속하던 직원도 교묘한 수법에 혀를 내두릅니다. <br /> <br />"코코아 속에… 아, 저렇게 들어가 있네." <br /> <br />이렇게 해외에서 몰래 들여오려다 적발된 마약이 올해 상반기에만 329kg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무려 505만 명이 투약하거나 흡입할 수 있는 양입니다. <br /> <br />관세청이 마약 단속을 시작한 이후 역대 상반기 가운데 가장 많은 적발량입니다. <br /> <br />2020년 줄어드는 듯했던 마약 밀수는 다시 늘기 시작하더니, 올해 상반기엔 지난해보다 38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건당 적발량은 올해 들어 1kg을 넘어서며 대형 밀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마약 가격이 해외에 비해 높게 형성돼 있고, 마약 수요도 지속해서 증가하는 흐름과 무관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[고광효 / 관세청장 : 젊은 층을 중심으로 흔히 클럽용 마약이라 불리는 케타민, MDMA와 외국 노동자에 의해 주로 소비되는 야바 등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(하고 있습니다.)] <br /> <br />밀수 경로에도 변화가 감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우편이나 특송화물 등 비대면 방식은 줄고 여행자를 통한 마약밀수 증가세가 뚜렷해 코로나 이전으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관세청은 여행객들에게 해외에서 마약류를 구매하거나 들여오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대마 등 마약류가 합법화한 나라에서 흡입·투약하더라도 적발되면 국내에서 처벌받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YTN 양일혁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일혁 (hyu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72518261900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