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번 장마는 비의 양도 많고 기간도 참 깁니다. <br><br>오늘로 한 달째인데, 아직도 끝날 기미가 없습니다. <br> <br>바닷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엘니뇨의 영향 탓인데, 권솔 기자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장마가 시작되고 오늘로 딱 한 달째입니다. <br> <br>예년 같으면 남부와 제주 지방은 이미 장마가 끝났을 때입니다.<br><br>전국 대부분 지역에 평년 이상의 장맛비가 내렸습니다. <br><br>특히 광주·전남 지역엔 지난해보다 2배 넘는 비가 내렸습니다. <br><br>전남 담양에는 한 달 새 1년 강수량에 맞먹는 비가 쏟아졌습니다. <br><br>길어진 장마는 엘니뇨 현상에 따른 수온변화 때문입니다. <br><br>[반기성 / 케이웨더 센터장] <br>"(엘니뇨 현상으로) 동태평양 해수 온도가 올라가면 북태평양 고기압이 위치하는 서태평양 해수 온도가 낮아져요. 바닷물이 뜨거울수록 북태평양 고기압이 발달하는데 좀 약하죠. 평년보다 약간 좀 늦어지는거죠." <br> <br>지난해와 올해 태평양의 수온을 비교해봤습니다. <br><br>엘니뇨가 발생한 올해 동태평양은 수온이 올라 벌겋게 보입니다. <br> <br>반대로 우리나라 근처의 서태평양은 수온이 낮은 노란색 영역이 지난해보다 늘어났습니다.<br> <br>보통 장마는 북태평양 고기압이, 한여름으로 갈수록 힘을 키워 정체전선을 북쪽으로 밀어 올리면서 끝이 납니다. <br> <br>하지만 올해 북태평양 고기압은 아직 그 정도까지 세력을 키우지 못 했습니다. <br> <br>이 세력 구도에 5호 태풍, 독수리가 변수로 떠올랐습니다. <br><br>덥고 습한 공기를 몰고오는 태풍은 북태평양 고기압을 키워줄 연료가 될 수 있습니다. <br><br>우리나라에 가깝게 올수록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에 힘을 실어줘, 장마전선까지 북상시킬 수도 있습니다.<br> <br>기상청에 따르면 태풍의 진로가 더 명확해지는 사흘 뒤 쯤 장마 종료 시점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솔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권솔 기자 kwon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