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 달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유력한 가운데 한일 양국이 방류 계획과 관련한 실무급 협의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오염수 여론전에 공을 들이는 일본은 비판여론에는 강하게 대응하고, 유리한 부분은 최대한 성의있게 설명하겠다는 강온 양면전략을 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한일 국장급 협의가 지난 5월 서울에 이어 2달여 만에 일본 도쿄에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2일 한일 정상회담의 후속 논의 성격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요구한 방류 점검 과정에 한국 전문가 참여와 방류 모니터링 정보 실시간 공유 등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는 인공지능과 유튜브를 동원해 여론전 다각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오염수 방류의 안전을 알리는 유튜브 영상을 다국적 언어로 제작해 유리한 여론을 유도하는 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인공지능으로 오염수와 관련한 잘못된 정보를 찾아내 시정을 요구할 방침인데 불리한 정보를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오염수 방류 비판에 정부와 여당이 연일 강하게 반박을 이어가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[모테기 도시미쓰 / 일본 자민당 간사장 : 중국에서 방류되는 오염수의 경우 농도가 더 높다는 것은 사실입니다.] <br /> <br />다만 일본 정부는 한중일 협의체 재가동에 합의했다는 점을 강조하며, 중국과의 극단적인 갈등은 피하려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[하야시 요시마사 / 일본 외무상 : 한중일 정상이 협력의 방향성, 그리고 구체적인 협력의 형태, 또한 지역의 여러 과제 등을 논의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일본은 한미일 정상회담을 통해 오염수 방류의 정당성을 더욱 확보한 뒤 방류 시기의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오염수 방류를 놓고 강온 양면의 여론전을 펼치는 일본. <br /> <br />하지만 오염수가 불안하다는 자국 내 여론도 여전히 적지 않은 만큼, 일본의 전략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72522025528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