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한 달 잠적' 中친강 해임…홈페이지서도 흔적 지우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달 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신변 이상설이 제기됐던 친강 중국 외교부장이 어제(25일) 결국 면직됐습니다.<br /><br />석연치 않은 해임의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, 임명된지 불과 7개월 만이네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의 입법기구인 전국인민대표대회가 표결을 거쳐 친강 외교부장의 면직을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5일 이후 공식 석상에서 사라지고 한 달 만입니다.<br /><br />면직 사유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전인대 회의 결과가 발표된 직후에는 외교부 홈페이지에 남아 있던 친 부장의 활동 내역도 모두 삭제됐습니다.<br /><br />잠적이 길어지는 동안 친 부장을 둘러싸고는 중병설과 간첩행위에 대한 조사설, 불륜설까지 제기돼 왔습니다.<br /><br />애초 건강 문제라고 설명했던 중국 외교부도 최근에는 '제공할 정보가 없다'며 그의 행적에 대한 답변을 피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신임 외교부장에는 7개월 전 자리를 내주고 승진했던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다시 임명됐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공산당 서열 24위 중앙정치국 위원으로서, 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과 외교부장을 겸임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전례 없는 상황이 만들어진 데 대해 외신들은 "복잡하고 준엄한 외교 환경에 직면한 베이징이 외교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해 베테랑 외교관을 내세운 것"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왕 위원의 복귀로 중국 외교부장의 부재 상황은 일단락됐지만, 친 부장을 둘러싼 의혹은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일 정전협정 70주년을 앞두고 중국이 북한과의 혈맹 관계를 부쩍 과시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은 정전협정기념일을 이른바 '전승절'로 기념하는 북한에 리훙중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을 대표단으로 보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북한이 2020년 초 국경을 봉쇄한 이후 중국에서 방북하는 최고위급 인사입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는 대표단 방중에 대해 "안정적인 북중관계와 한반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매체들은 이번 대표단 파견을 통해 북한과 중국이 밀착하려는 것은 지정학적 긴장감이 높아지기 때문이라며 그 책임을 한국과 미국, 일본에 돌렸습니다.<br /><br />"정전 70주년은 강대국 간 치열한 경쟁과 대결로 국제환경이 혼란에 빠진 매우 특별한 시기"로 "동북아 지역에서 블록 대결의 그림자가 나타나고 있다"고 지적한 것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전략핵 잠수함이 부산항에 입항한 것을 두고는, 미국이 점점 더 공격적인 군사 행동을 취하며 한반도 상황을 악화시키는 도발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북한과 국경을 맞댄 접경지역에서는 이른바 '항미원조 전쟁 승리' 70주년 기념행사를 잇따라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6.25 전쟁 참전을 '미국에 대항해 북한을 도왔다'는 뜻으로 항미원조라 부르는데, 첫 전투가 벌어진 10월 25일을 참전일로 기념해왔지만, 그동안 정전협정일에는 별다른 기념행사를 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런 가운데 정전 70주년, '항미원조 전쟁 승리'를 부각하며 북한과의 '혈맹 관계'를 과시하는 것은 최근 공고해지는 한미일 공조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