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전협정 체결일에 교과서 받았다…미군 재건사업 영상 공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아 6.25 전쟁 전후, 미군과 유엔이 폐허가 된 한국에서 재건 활동을 하던 기록영상이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군과 한국 지역민들이 함께 전쟁의 상흔을 치유해나가는 모습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오주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 7월 27일.<br /><br />전쟁의 상흔을 보여주듯 낡고 해진 옷을 입은 아이들…<br /><br />선생님 곁에 모여 미군들로부터 받은 교과서를 한참이나 들여다보고, 교과서 꾸러미를 번쩍 들어 옮깁니다.<br /><br />정전이 결정되자마자, 미래의 주역인 아이들의 교육을 준비하는 모습이 담긴 겁니다.<br /><br />한국영상자료원이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아 6.25 전쟁 전후 유엔과 미군의 재건사업 현장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(NARA)과 남캐롤라이나 대학 도서관에 소장됐던 자료 가운데 발굴된 기록입니다.<br /><br /> "이곳(경성방직 공장)은 전쟁 이전까지 한국에서 가장 큰 방직 공장이었습니다. 유엔 민간원조 사령부(UNCACK)가 맡은 주요 임무 중 하나는 한국 산업의 재건입니다."<br /><br />미군은 1953년부터 미군대한원조, AFAK 프로그램을 통해 미군 부대 주둔지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종교시설이나 고아원, 병원, 학교 등의 건설을 지원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1954년 7월 20일, 인천 '화도예배당' 건설 장면은 사료적인 가치가 있는 영상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 "목사님이라든지, 관계자의 얼굴이라든지, 프로그램에 도움을 주고 있는 미군들이 같이 모여 있는데요. 이런 것들이 하나하나 다 지역사 차원에서, 그리고 한국 근현대사와 선교사 차원에서 굉장히 중요한 장면들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1960년대 이후부터는 미군과 교사, 학생들이 어우러진 모습이 컬러 필름 속에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지역 또는 마을 단위에서 소규모로 이루어졌던 한미동맹의 모습을 생생하게 알려주는 기록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한국영상자료원은 이번에 발굴된 영상 중 핵심적인 자료를 선정해 웹사이트에서 한 달간 일반에 공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오주현입니다. (viva5@yna.co.kr)<br /><br />#한국영상자료원 #한미동맹_70주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