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0여년 만에 조국의 품…6·25 국군 전사자 유해 봉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6·25 전쟁 당시 산화한 국군 전사자 7명의 유해가 70여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.<br /><br />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, 국군 전사자 유해 봉환 행사가 서울공항에서 거행됐는데요.<br /><br />나란히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형제는 넋으로나마 만났습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임시 안치됐던 미국 하와이를 떠난 국군 전사자들은 태평양을 건너, 73년 만에 조국의 품에 안겼습니다.<br /><br />태극기로 관포한 7위(位)의 유해는 신원이 확인된 고(故) 최임락 일병부터 차례로 고국 땅을 밟았습니다.<br /><br />그리웠던 형을 떠올리며 동생은 먹먹한 편지를 전했습니다.<br /><br /> "긴 세월이 지났지만, 지금이라도 돌아오셔서 고맙습니다. 모질게 고생만 하시다가 나라를 구한다고 군대에 들어가셨죠."<br /><br />유족들과 함께 전사자를 맞은 윤석열 대통령은 참전기장을 수여했습니다.<br /><br />새 정부 들어 처음 진행된 '6·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 봉환 행사'는 윤 대통령 주관으로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6월 윤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밝힌 '제복 입은 영웅들을 끝까지 기억하고 예우하겠다'던 의지와 맞닿아 있습니다.<br /><br />7위의 유해는 호위를 받으며 공군 수송기 '시그너스'로 귀환했고, 국빈급 예포와 거수 경례 등 군 예식에 따른 최고의 예우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최 일병의 유해는 특히 조카 최호종 해군 상사가 직접 모셔 의미를 더했습니다.<br /><br />치열했던 '장진호 전투'에서 19살의 꽃다운 나이로 전사했던 최임락 일병은 마찬가지로 한국전쟁 중 산화한 형, 최상락 하사와 나란히 국립묘지에 잠들며 넋으로나마 만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다른 6위의 유해는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, 정부는 정밀 감식과 유전자 검사 등을 진행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#국군전사자 #유해봉환 #윤석열대통령 #6·25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