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송 궁평 지하차도 참사, 사고 당일 112 신고를 경찰이 출동하지 않고 뭉갰다는 의혹이 제기됐죠. <br> <br>사고 발생 전날 이번엔 119에 임시제방으로 물이 넘친다는 신고가 이미 들어왔던 것으로 확인됐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119는 구청에 확인하라고만 하고 아무 대처를 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 14일 오후 5시 21분. <br> <br>충북 119종합상황실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옵니다. <br> <br>재해예방 신고가 가능하냐고 물은 신고자는 불어난 강물 때문에 임시제방이 무너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"교각 공사구간 밑에 임시로 흙을 쌓아 두었는데 차수막도 없다"며 "불어난 강물이 이미 쌓은 흙 아래로 지나가고 있다"고 구체적인 상황까지 설명합니다. <br> <br>또 "제방이 허물어지면 조치원에서 청주 가는 교통이 마비된다, 오송 일대가 물난리 날 것"이라고 크게 걱정합니다. <br><br>신고자의 경고에 119 상황실은 "조금 위험해 보이긴 할 것 같다"며 답하지만 폭우로 출동이 많아 "예방차원으로 갈만 인력은 없다"고 답합니다. <br> <br>다른 관련 기관에 협조를 요청해 줄 수 있냐고 신고자는 다시 물었고 소방 측은 "구청 등에 전화해 보라"고 안내합니다.<br> <br>신고자는 체념한 듯 "제가 할 일은 아닌 같다" "그냥 물 들어오면 물 맞죠"라며 수고하라는 인사를 남기고 전화를 끊습니다. <br> <br>이 신고 14시간 뒤 임시제방은 무너졌고 궁평 2지하차도는 완전히 잠겨 14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><br>[충북소방 관계자] <br>"소방 피해가 워낙 많아가지고. 당시에 긴급한 상황, 좀 인명 구조가 필요한 상황 그거를 저희가 (소방접수) 받기에도 조금 힘든 상황이었어요." <br> <br>이같은 신고는 종결처리됐고 상부로 보고도 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<br>또 침수사고 전날 재난안전대책 본부에서 비상 3단계를 발령했지만 충청북도 도로관리사업소 책임자들은 규정을 어기고 퇴근한 사실도 국무조정실 감찰에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<br> <br>자료제공: 더불어민주당 천준호 의원실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