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극한 호우' 일상 된 한반도…"기후변화 적응할 때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장마, 많은 비가 끊임없이 쏟아졌습니다.<br /><br />기록적인 폭우의 원인으로는 '지구온난화'가 꼽히는데요.<br /><br />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올해와 같은 극단적인 기상 현상들이 더욱 잦아질 것으로 보여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임하경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마을 진입로가 불어난 물로 가득 찼습니다.<br /><br />나무는 거센 물살을 이기지 못하고 곳곳에 쓰러졌습니다.<br /><br />하천 수위가 오르며 제방은 손쓸 새도 없이 무너졌고, 흙더미가 쏟아져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올여름 장마는 강력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5일부터 한 달간 전국에서 내린 비는 640mm를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같은 기간으로는 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가장 많은 장맛비입니다.<br /><br />남부지방도 690mm로 역대 1위, 중부지방은 570mm를 넘으며 역대 세 번째로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충청과 호남, 영남 등에서는 강수량이 평년의 3배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기록적인 폭우의 원인으로는 '지구온난화'가 꼽힙니다.<br /><br />바다가 따뜻해지면서 비구름의 연료가 되는 수증기를 대기로 뿜어냈습니다.<br /><br /> "뜨거운 바다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중국 연안 쪽을 따라서 장마전선에서 끝부분으로 매우 맹렬하게 유입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. 비가 우리나라 쪽에 아주 좁은 지역에 걸쳐서 응결돼서 집중적으로 내렸기 때문에 비가 상당히 많이 오고..."<br /><br />올해는 성질이 다른 기단이 강하게 부딪치며 좁은 비구름 통로가 만들어졌는데, 그 사이로 수증기가 강처럼 들어와 좁은 지역에 강한 비를 집중적으로 뿌렸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대기의 강'이 열린 건데, 과거보다 더 뜨거운 수증기가 정체전선으로 끝없이 밀려왔습니다.<br /><br />집중호우를 만들기 좋은 조건이 갖춰진 겁니다.<br /><br /> "(대기 중) 수증기의 양이 지구온난화에 따라서 많이 증가하면서 비를 내릴 수 있는 환경들이 조성되는 것이고, 강수를 내리게 하는 대기의 흐름이 온난화에 따라서 바뀌고 있기 때문에 결국 집중호우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..."<br /><br />기상청은 지난 6월 15일부터 수도권에 극단적인 호우가 내리면 직접 긴급재난문자를 보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한 시간에 72mm 이상이라는 '극한 호우'의 개념이 처음 사용된 건데,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서울 신대방동 일대에 첫 재난문자가 발송됐습니다.<br /><br />이미 극한 호우는 우리의 일상이 된 겁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노력과 함께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적응의 수단이라는 건 조기경보 체계를 좀 더 확립하고 널리 활용하는 것이라든가, 홍수와 관련된 제방, 시설과 관련된 재난관리 기준이 강화되고 활용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."<br /><br />빠르게 진행 중인 기후변화.<br /><br />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선 선제적인 재난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하경입니다. (limhakyung@yna.co.kr)<br /><br />#극한호우 #기후변화 #지구온난화 #장마 #폭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