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내에서는 도입 논의가 시작된 외국인 가사도우미는, 싱가포르와 홍콩의 경우 이미 50년 전에 도입됐습니다. <br> <br>이용해보니 뭐가 좋고 또 뭐가 나쁜지, 정다은 기자가 들여다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 1970년대 외국인 가사도우미 제도를 시행한 싱가포르와 홍콩. <br> <br> 여성의 사회 진출을 독려하고,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했습니다. <br> <br> 현지 우리 교민들도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외국인 가사도우미를 고용합니다. <br> <br>[A 씨 / 싱가포르 교민] <br>"맞벌이하고 어느 정도 소득이 되는 분들은 자녀가 있을 경우 꼭 쓰는 걸로…" <br> <br> 최저시급이 6500원인 홍콩에선 이 규정을 외국인 가사도우미에게 적용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 다만 이들에게 월 급여 77만 원 이상을 보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B 씨 / 홍콩 교민] <br>"대다수의 교민들이 쓰고 있어요. 필리핀 가정부나 말레이시아, 인도네시아 가정부를 쓰고 있거든요." <br> <br> 최저임금 제도가 없는 싱가포르에서는 한 달에 최소 40만 원 이상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C 씨 / 싱가포르 교민] <br>"(한달에) 필리핀 이런 데는 한 900 달러(약 86만 원) 정도 받는 것 같고요. 싱가포르 달러로. 미얀마나 경험이 없는 사람은 한 600~700 달러(약 67만 원) 되는 것 같아요." <br> <br> 다섯 가구 중 한 곳에 외국인 가사도우미가 있을 정도로 보편화됐습니다. <br><br> 그러나 학대 피해도 잇따라 고용 연령을 만 23세 이상으로 정해 노동 착취를 막고 있습니다. <br> <br> 일본의 경우 외국인을 직접 고용한 민간 기업이 가정과 계약을 맺어 출퇴근 방식으로 운영합니다. <br> <br> 다만 싱가포르나 홍콩과 달리 내국인과 동일한 노동법을 적용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강 민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