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프로축구 제주 유나이티드 선수들이, 쓰레기 매립장에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어떤 이유인지 선수들이 입고 있는 유니폼에 주목해 보시죠. <br> <br>정윤철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안전모를 착용하고 공장으로 들어서는 한 남자. <br> <br>울산이 지난해 영입한 공격수 마틴 아담입니다. <br> <br>중공업 도시 울산의 색깔을 살린 선수 소개 영상입니다. <br> <br>뜨거운 쇳물이 흐르고, 불꽃이 튑니다. <br> <br>포항은 지역의 상징 제철소를 배경으로 새 유니폼을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요즘 K리그 팀들이 연고지 특징을 살려 지역팬들의 마음잡기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><br>제주 선수들이 선 곳은 더 특별합니다. <br> <br>한라산 중턱에 있는 쓰레기 매립장입니다. <br> <br>선수들은 친환경 재생 유니폼을 입고 이 곳에 섰습니다. <br><br>제주의 울창한 숲을 지키려면 탄소 중립과 환경보호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. <br> <br>제주의 재생 유니폼 제작은 올해로 3년째. <br> <br>첫해엔 파란색 바탕으로 제주의 청정 바다를 표현했고, 지난해엔 제주 해녀를 상징하는 해녀복 모양의 유니폼으로 눈길을 끌었습니다. <br> <br>특히 지난해까지 재생 유니폼에는 팬들이 직접 모은 페트병이 활용됐습니다. <br> <br>[홍지현 / 제주 팬&비즈팀 프로] <br>"쓰레기를 섬 안에서 내부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제주도의 특성에 문제 의식을 가지고, 팬들과 함께 시작하게 됐습니다." <br> <br>페트병을 녹여 유니폼 제작에 필요한 원사를 만든 겁니다. <br><br>첫해 1만 9천여 개의 페트병이 유니폼으로 거듭났는데, 이를 통해 1155kg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얻었습니다.<br> <br>지역과 환경을 모두 생각한 특별한 유니폼. <br> <br>제주는 이번 주말 홈경기에서 새 유니폼을 입고 후반기 순위경쟁에 돌입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윤철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유하영